투자의 방법은 다양하다. 실제 가치보다 낮게 평가된 종목을 발굴해 투자하는 가치투자, 모멘텀에 따라 투자하는 단기투자, 그리고 분초 단위로 종목을 매매하는 초단타투자 등 투자자들은 수익을 내기 위해 다양한 투자방법을 찾는 데 여념이 없다. 물론 각자 성향에 따라 적합한 투자방법이 있다. 하지만 주식투자로 부자가 된 이들의 공통점을 찾아보면 대부분 시장의 큰 흐름을 꿰뚫어 보는 혜안이 있었다.
시대가 바뀌면 산업지형이 변하고 산업이 바뀌면 주가가 오르내리기 마련이다. 예를 들어 1989년에 상장된 SK텔레콤은 1990년대 후반 디지털 혁명의 바람을 타고 주가가 300배 가까이 올랐다. 1000만 원을 투자했다면 30억 원이 됐다는 얘기다. 2000년대 들어서는 중국 성장세의 수혜를 본 산업들이 나타났다. 철강, 자동차, 조선 관련 종목들의 주가가 크게 올랐는데 대표적으로 포스코의 주가는 15배, 현대모비스가 60배, 현대중공업은 30배 이상 주가가 올랐다. 모두 산업지형에 큰 변화의 흐름이 나타난 것이다. 시장의 흐름을 무시하고 단기적인 관점으로 투자하는 이들이라면 이렇게 큰 상승폭을 보인 종목을 찾아내기 쉽지 않았을 것이다.
최근 중국이 2년 만에 관리변동환율제로 복귀하면서 위안화 가치가 올랐다. 이번 위안화의 변동 폭 확대는 잠시 중단됐던 중국의 환율 절상 폭 확대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이번 위안화 절상은 중국 경제 환경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그동안 중국은 낮은 화폐가치와 임금, 저물가라는 ‘3저(低) 현상’을 바탕으로 고성장을 이뤄 왔다. 그러나 이는 대외적으로는 심각한 글로벌 무역불균형을 낳았다. 결국 이번 위안화 절상의 궁극적 목적은 수출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제구조를 바꿔 내수를 진작하기 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당장 위안화가 큰 폭으로 절상되지는 않겠지만 장기적인 흐름에서 위안화의 꾸준한 절상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중국의 소비시장은 향후 지속적으로 팽창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장기적으로 중국의 소비시장 성장에 초점을 맞추고 투자하는 전략을 고려해볼 만하다. 현재 중국 내수에 초점을 맞춘 펀드는 없기 때문에 아시아 관련 소비재 펀드와 럭셔리 펀드가 대안이 될 수 있다. 해외 주식형펀드는 최근 3년간 평균 수익률이 저조하지만 소비재 펀드는 같은 기간 30% 이상의 고수익을 거뒀다. 2010년에도 중국과 인도 증시가 횡보하고 있음에도 이들 펀드의 수익률은 꾸준한 모습을 보이는 만큼 유망한 투자처라고 판단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