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투데이]‘고수익 투자처’ 미술품에 눈돌리는 글로벌 자금

  • Array
  • 입력 2010년 8월 19일 03시 00분


코멘트
금융위기 이후 극도로 위축되었던 미술품 시장이 활기를 되찾고 있다. 미술품 경매의 두 축인 크리스티와 소더비의 올해 상반기 경매 실적이 지난해 상반기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경매 낙찰가가 상승하면서 소더비의 영업이익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인 2008년 상반기보다도 29.5% 증가했다. 관련 종사자들도 놀랄 만큼 예상 밖으로 빨라지고 있는 미술품 시장의 회복은 두 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고 본다.

첫째, 수익률에 목말라 있는 글로벌 자금이 움직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위기 이후 극도의 위험 회피 현상이 나타나면서 금 가격이 급격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사실 금융위기 이전까지는 금과 미술품 가격의 흐름이 유사한 추이를 보여 왔다. 둘 다 실물자산의 대표이기 때문에 가격의 흐름도 유사할 수 있었다.

반면 위기 직후에는 미술품의 가격은 하락하고 금 가격만 상승했다. 미술품의 경우 회전율이 낮아 금보다 환금성이 떨어지고, 작품의 선택에 따른 수익률 오차가 크기 때문에 위험 회피 성향이 강화된 상황에서 투자 매력이 낮아졌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최근 실물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여전한 가운데, 선진국들의 양적 완화가 지속되자 풍부해진 유동성이 수익률을 찾아 미술품으로 왔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최근 경매시장 주체들이 가장 주목하는 미술품은 앤디 워홀이나 로이 리히텐슈타인과 같은 동시대 작가의 작품들이다. 이 작품들은 마치 주식시장의 벤처기업처럼 성장성이 높아 ‘고위험-고수익’의 투자 대상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동시대 작품의 가격은 금융위기 이후 2005년 수준으로 하락했으나 올 1분기 이후 반등을 시작하고 있다. 글로벌 자금의 위험선호도가 개선되고 있음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둘째,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로의 패권 이동을 의미한다. 이번에 미술품 가격이 빠르게 반등할 수 있었던 것은 중국의 자금력 때문이었다. 중국의 부동산 과열 방지책으로 다른 투자 대안, 예컨대 미술품과 같은 투자 대안이 부상한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로 2008년 전 세계 경매 거래액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7%에 불과했으나 작년에는 17%로 올랐다. 금융위기 이전까지 글로벌 공장에 불과했던 중국이 금융위기 이후로는 글로벌 소비의 주체, 더 나아가 글로벌 자산 매수의 주체가 되고 있다.

최근 발표되는 매크로 지표들을 보면 좋은 소식과 나쁜 소식이 교차하면서 위기 이후 글로벌 경기가 여전히 상당히 ‘느린 회복’ 상태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가운데서도 풍부해진 유동성이 조금씩 위험을 감수하면서 투자처를 찾아 움직이고 있다. 2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튼튼한 기초체력이 검증된 한국 주식시장 역시 하나의 투자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원선 토러스투자증권 투자분석부 이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