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너지는 종합에너지 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 미래에너지를 중심으로 신성장축 개발에 한창이다.
석유공정, 석유화학촉매기술, 윤활유 등 기존 에너지 관련 기술 기반에 최고경영자(CEO)의 녹색에너지에 대한 의지가 더해져 ‘미래 녹색성장’과 관련한 중점 추진분야를 정하고 저탄소 성장을 추구하고 있다.
SK에너지는 그린카 세계 4대 강국에 진입하기 위한 핵심기술인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 배터리 기술개발에 투자해 왔다. 2009년 10월 다임러 그룹 미쓰비시 후소(Mitsubishi Fuso)사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장착될 리튬이온 배터리 공급업체로 선정되는 성과를 얻었다. 이어 7월 현대·기아차그룹의 첫 순수 고속 전기차로 양산 예정인 블루온(Blue-On) 모델과 기아차 기반의 차기 양산 모델의 배터리 공급업체로 선정됐다.
특히 현대·기아차에 공급할 배터리는 기존 하이브리드 계열 자동차와는 달리 이산화탄소가 전혀 발생하지 않고 전기의 힘으로만 구동된다. 고속 전기자동차에 공급되는 고용량, 고성능 배터리로 SK에너지의 높은 기술력이 확실하게 입증됐다는 평가다. 한 번 충전으로 160km까지 갈 수 있고, 시속 130km로 주행할 수 있다. 급속 충전 시 80%를 채우는 데 20분이 걸리며, 일반 충전 시 완전히 충전되는데 6시간이 걸린다. SK에너지는 현대·기아차 상용사업부문에서 개발 중인 전기버스 ‘일렉시티’ 프로젝트에도 참여해 순수 전기 상용차 배터리 시장에서도 앞서가고 있다.
SK에너지는 5월 대전에 있는 SK에너지 기술원에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1호 생산라인을 구축했다. 이어 7월에는 충남 서산일반산업단지에 2012년 완공을 목표로 전기차 배터리 생산라인을 증설하기 위한 양해각서를 충남도 및 서산시와 체결했다.
SK에너지는 2005년 독자 개발한 리튬이온전지용 분리막(LiBS) 기술과 고유의 전극기술 등 소재기술을 기반으로 부품소재부터 최종제품까지 전 과정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SK에너지가 개발한 LiBS는 국산화 기술 개발을 통해 소재산업의 해외 의존을 탈피하고, 일본과 중국 등 해외에 수출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현재 충북 청주시와 증평군에 5개의 LiBS 생산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2년을 목표로 증평에 6, 7호 생산라인도 건설하고 있어 LiBS의 글로벌 톱3 위치를 확고히 할 것으로 전망된다.
SK에너지는 정보전자소재 분야에도 적극 진출하고 있다. 증평에 2011년 말 완공을 목표로 전자 정보통신제품의 첨단 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편광필름(TAC)과 연성회로원판(FCCL)의 생산라인을 함께 건설하고 있다. 순수 국내기술로 TAC와 FCCL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수입 의존도를 대폭 낮출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SK에너지는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폴리머제품으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를 생산하는 데 앞장서겠다는 방침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