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기회복과 저금리 환경은 여러 자산가치가 동시에 오르는 복합 자산가격 상승(multi asset boom)을 낳았다. 특히 선진국 정부가 직접 국채를 매입하면서 위험자산뿐만 아니라 안전자산도 동시에 상승하는 특이한 현상이 계속되어 왔다. 2011년에도 성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저금리가 유지되는 것이 자산가격 측면에서는 가장 중요한 변수다. 특히 부채 부담이 높은 국가는 인플레이션에 따른 금리 상승이 위험요인이다.
최근 아시아 국가들의 물가 상승은 국가마다 배경과 특성이 달라 이에 대한 정책방안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 일단 한국은 대외부문에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내부 인플레이션 압력을 측정하는 고용 및 가동률, 유통속도들은 경제가 과열 국면으로 들어섰다는 신호를 보이지는 않고 있다. 한국 소비자 물가와 상관관계가 높은 환율과 상품가격 상승이 최근 물가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물가가 내부적인 요인으로 상승할 때는 금리를 올리면 문제 해결이 쉽지만 대외적인 요인이 클 경우에는 금리 인상만이 능사는 아니다. 금리 인상은 마이너스인 실질금리를 정상화해 인플레이션 확산 위험을 미리 차단하는 정도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공공요금 인상 억제에도 한계가 있다. 한국 물가지표들 중 공공 서비스요금은 정부의 계속된 인상 억제로 인해 2008년 이후로 4.3% 상승하는 데 그쳤다. 전체 소비자 물가는 2008∼2010년에 10.8% 상승했다.
한국의 인플레이션 특성을 고려할 때 이번에는 복합적인 정책이 필요해 보인다. 미시적인 물가 안정책과 금리 인상 이외에도 원화 강세를 통한 물가 상승 압력을 줄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동안 수출 기업에 우호적이었던 환율 정책은 가계부문의 비용 부담이 급등하고 있는 상황에서 방향을 바꿀 필요가 점차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대내외적으로 가중되고 있다. 중국도 일단 상품 가격 상승에 따른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위안화 절상을 용인할 필요가 있다. 특히 중국은 해외 유동성이 그대로 자산시장으로 유입될 우려가 있고, 금융기관의 대출 및 시중 유동성은 정부 지침과 달리 증가세가 여전히 빠르다. 금리를 통한 긴축의 필요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올해 상반기 동안은 아시아 국가들의 인플레이션 억제 정책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연초부터 한국과 중국의 금리를 인상할 것인가가 당분간은 주요 관심사다. 정책금리가 인상되더라도 아직은 절대 금리 수준이 낮고,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의 억제와 시중 금리 안정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어 금융시장에 미치는 충격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