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리서치센터장으로 있다 보니 지인들로부터 투자에 대한 문의가 많은데 요즘은 미국 부동산은 어떤지를 종종 묻는다. 2008∼2009년 세계적인 금융위기와 경기침체의 진원이 미국 부동산시장 붕괴였고, 2010년에도 회복세가 미미했던 만큼 낮은 가격 메리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듯하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직 미국 주택가격 회복에 대한 판단은 일러 보이며 환율변화 등 주변 여건을 감안한 기회비용의 관점에서 투자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다.
미국 주택시장 얘기를 꺼낸 것은 세계경제와 이에 영향력이 큰 미국의 소비전망이 필요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작년 말부터 미국 소비전망이 급격히 호전되고 있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2차 양적완화, 감세안 연장 등 경기부양 정책을 내놓고 미뤘던 수요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자 모처럼 살아나는 주가가 자산증대 효과로 이어져 소비증가를 이끌 수 있을 것이라는 낙관적인 의견이 많이 개진됐다.
그러나 2000년 이후 미국의 소비증가를 이끌었던 거시변수는 주택시장 영향이 절대적이었고 그 다음은 고용이었다.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주식시장이 소비에 끼친 영향은 크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난다. 미국 주택시장 회복은 아직 요원하며, 이는 최근 미국의 주택관련 경제지표 및 가격 동향에서 확인된다. 미국 고용 또한 양적, 질적으로 소득 및 소비 정상화를 이끌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기에는 부족하다.
감세안 연장이 가처분 소득 증가로 이어질 수 있지만 주택, 고용 여건의 정상화 없이 미국 가계의 소비성향이 회복되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또 지난해 11월 기준 미국 가계의 저축률은 5.3%로 금융위기 이전 평균인 2.8%보다는 현저히 높다. 결론적으로 미국의 소비전망이 급격히 호전되고 있지만 이러한 기대가 쉽사리 현실화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한다.
향후 미국 소비에 대한 판단은 우리 주식시장 및 투자전략에도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다. 필자는 아직 미국 소비 정상화 여건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정책효과로 인한 소비개선 기대감이 선반영된 주식시장에 대한 대응은 보수적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미국 소비자들의 낮은 소비성향은 미국시장의 치열한 가격 및 질적 경쟁을 유발시키고, 이는 기업들에는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미국 소비자들의 낮은 소비성향에 따른 수혜를 예상할 수 있는 기업들은 선별해 보는 것은 좋은 투자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국의 완성차 메이커들이 이러한 낮은 소비성향에 부합한다는 의견이 많은데, 필자 생각에는 한국의 타이어업체들이 더 가까울 것 같다. 미국, 일본, 유럽의 타이어업체 대비 가격경쟁력이 있고 중국 등 신흥국가 타이어 업체와 비교할 때는 질적 경쟁력이 우월하기 때문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