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한의원 박기원원장 성장기 아이들을 위한 식탁은 더욱 신경 써 주어야 한다. 성장기에 꼭 필요한 영양소 섭취가 부족해지면 성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성장기 아이들에게 꼭 필요한 음식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 성장클리닉과 성조숙증을 진료하는 서정한의원의 박기원 원장의 조언을 들어보도록 하자. 고기는 필요한 만큼만, 빼먹지 않고 아이 먹거리를 지키자는 단체들을 중심으로 육류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가축의 몸에 환경호르몬이 축적되어 있고, 과도한 항생제가 사용되므로 육류 먹기를 자제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위험 요소가 내재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이들의 성장을 위해서는 반드시 육류의 섭취가 필요하다. 육류로 공급되는 양질의 단백질은 우리 몸을 구성하는 아주 중요한 재료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반드시 공급해 주어야 하는 것이다.
물론 환경호르몬 검출이나 항생제 잔류 문제는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기는 하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을 감안해 육류를 먹을 땐 기름기를 제거하고 먹는 것이 좋다. 다이옥신 등 유해한 화학 물질은 지방에 녹는데 기름기를 제거하고 먹으면 유해 물질을 상당량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몸에 좋지 않은 포화지방 섭취량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너무 많이 먹으면 소아비만의 문제가 커지기도 하므로 적당량 섭취해야 한다. 초등학교 입학 전의 아이들은 하루 평균 10~20g의 단백질을, 중고등 학생들은 하루 평균 30~60g의 단백질 섭취가 필요하다. 중간크기의 계란 하나가 평균 60~70g 정도가 되므로 ‘고기로 배를 채우는 정도’가 아닌 국, 반찬에 맛을 내기 위해 육류를 첨가해 주는 정도가 가장 적절한 육류 섭취 양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제철 나물은 최대한 많이 요즘 아이들은 채소를 싫어해서 잘 먹지 않는다.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학교에서도 제일 인기 없는 반찬이 채소를 이용한 나물반찬이라 한다. 어릴적부터 자극적인 맛을 내는 각종 인스턴트식품, 고기, 자극적인 패스트푸드 등에 길들여져 엄마들이 원만한 노력을 기울여서는 아이들에게 채소를 먹이기가 쉽지 않게 된 것이다. 게다가 채소는 밑 손질할 것이 많아 음식을 만들 때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가는데, 시간과 노력에 비해 아이들이 잘 먹지 않으니 엄마들마저 아이 밥상에 올리는 것을 힘들어 한다.
하지만, 채소에는 성장과정과 생리활동 유지에 필요한 중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게 들어있고 소아비만을 예방하는 필수 작용을 하므로 섭취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다양한 조리법을 동원하여 아이들이 먹을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단, 신선하지 않은 야채를 먹는 것은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 화학비료를 남용한 흙에서 자란 야채에는 대개 질소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질소 화합물이 함유된 야채는 보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질소 화합물질의 양이 점점 증가한다. 따라서 야채는 아이들이 먹을 야채라면 유기농 야채 구입을 고려하고 구입 직후 신선할 때 바로바로 먹는 것이 좋다.
우유는 매일 하루 두잔 우유는 칼슘 식품의 대표 선수이다. 그래서 인지 엄마들은 키가 작은 아이들에게 억지로 우유를 먹이기도 한다. 실제 성장클리닉을 찾아오는 아이들 중 하루 1리터씩은 억지로라도 우유를 먹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진 엄마와 아이들이 꽤 많다.
그러나 칼슘이 많이 든 우유라지만 정해진 섭취량은 정해 놓고 필요량만을 먹도록 하자. 우유 한잔은 125kcal인데 만약 매일 1리터의 우유를 먹는다면 아이는 한 달이면 2kg의 체지방만 늘어나게 되기 때문이다. 체지방이 늘수록 성조숙증의 위험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이다.
우유는 하루 약 2컵 분량으로 정해져 있다. 필요량만큼은 반드시 우유를 먹어 칼슘은 보충해 주면서도 체지방은 늘지 않도록 신경 써 주어야 한다. 덧붙여 비만 아이들의 경우에는 일반 우유보다는 저지방 우유를 섭취하게 해야 한다.
식사 관리의 감초, 적당한 간식 최근의 한 연구에서 어린이들 중 간식으로 먹은 음식이 기본 식사보다 더 많은 칼로리를 차지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아무리 식단 조절을 잘 하더라도 간식을 소홀히 하면 아이의 성장에 지대한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식단 조절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간식의 종류, 양의 조절이라 하겠다. 상황에 따른 적절한 양질의 간식을 얼마만큼 주느냐에 따라서 건강 식단이 더욱 큰 효과를 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자료는 해당기관에서 제공한 보도 자료입니다.>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