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에 근무하는 비정규직 근로자가 4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공공기관 선진화계획에 따라 일괄적으로 정원을 줄이자 해당 기관들이 정규직은 줄이는 대신 비정규직만 늘린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1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27개 공기업과 83개 준정부기관 등 총 286개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비정규직 근로자는 지난해 총 4만956명으로 2009년 3만8125명보다 2831명(7.4%) 늘었다. 이들 기관에 근무하는 정규직이 24만7359명인 점을 감안하면 전체 근로자의 14.2%가 비정규직으로 근무하고 있는 셈이다.
공공기관의 비정규직 근로자는 2006년 4만2095명에서 2007년 3만7212명으로 줄었다가 2008년 3만7405명, 2009년 3만8125명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가 2009년 2만2000여 명의 정원을 감축하자 각 기관이 업무 공백을 메우기 위해 고용과 해고가 자유로운 비정규직 고용을 늘렸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비정규직이 가장 많은 공공기관은 중소기업은행으로 3615명에 달했다. 정규직 7000여 명을 포함하면 전체 근로자 10명 중 3명은 비정규직인 것이다. 중소기업은행에 이어 △우체국시설관리지원단 2284명 △한국과학기술원 1613명 △코레일테크 1230명 △한국토지주택공사 1134명 △한국농어촌공사 1077명 등 순으로 비정규직이 많았다. 이에 대해 재정부 관계자는 “해당 기관별로 사업 성격상 일시적으로 필요한 인원이 비정규직으로 채용됐지만 급격히 늘어난 것은 아니다”라며 “2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는 정규직으로 전환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