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로 위스키 시장에도 양극화 바람이 불면서 17년산 이상의 고급 위스키 판매가 늘고 있다. 17일 주류업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국내 위스키 판매량은 12년산 위스키는 줄어들었지만 17년산 이상의 고가(高價) 양주는 늘어나는 추세다.
페르노리카코리아에 따르며 이 기간 동안 임페리얼 17년산과 21년산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할 때 판매량이 각각 9.8%, 83.8% 늘었다. 반면 12년산 '임페리얼클래식'은 7.8% 줄었다. 발렌타인 21년산과 30년산도 지난해와 비교할 때 각각 10.6%, 11.1% 씩 판매량이 늘었다. 12년산은 판매량 감소율이 25.2%에 달했다. 여기에 블렌디드 위스키보다 값이 비싼 싱글몰트 위스키도 국내에 마니아층이 생기면서 1~4월 판매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5%가량 증가했다.
높은 연산의 위스키 판매가 늘어나는 이유는 경기침체로 값이 조금 비싸도 소주대신 12년산 위스키를 마시던 소비자들이 아예 위스키를 찾지 않게 됐고 여력이 있는 소비층들은 고급 위스키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위스키 업체 관계자는 "위스키는 그동안 유흥업소를 중심으로 폭탄주용으로 주로 팔렸는데 최근에는 비싼 값의 위스키보다는 도수도 낮고 값도 싼 소주를 선호하는 경향이 많아졌다"며 "위스키를 여전히 찾는 소비자들은 비교적 비싼 싱글몰트 위스키나 17년산 이상의 고급 블렌디드 위스키 등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