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언론에 국내 헤지펀드 도입에 대한 얘기가 자주 등장한다. 정부가 새로운 금융상품을 도입하기 위해 노력과 열정을 들이고 있고 국내 금융회사들도 이를 반기고 있다.
국내 시장 여건을 감안할 때 헤지펀드 도입 초기에는 다양한 운용기법 가운데 ‘주식 롱쇼트(Long-Short)’ 전략을 주로 하는 펀드가 대세를 이룰 것으로 보인다. 롱쇼트 전략은 펀드매니저가 전망이 좋은 주식을 사고(주식 매입이 롱 전략임) 동시에 전망이 안 좋은 주식을 기관투자가 등으로부터 빌려와서 팔았다가(주식 공매도가 쇼트 전략임) 나중에 다시 그 주식을 그대로 돌려주는 방식이다. 매입한 주식이 오르면 그 주식을 팔아 이익을 얻고, 빌려와 판 주식의 가격이 떨어지면 나중에 낮은 가격에 사서 빌린 사람에게 돌려주기 때문에 여기서도 이익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롱쇼트 전략의 매력은 산 주식과 판 주식이 모두 오르거나 모두 떨어져도 수익을 낼 수 있다는 데 있다. 산 주식의 주가가 빌려와 판 주식의 주가보다 더 많이 오르거나 덜 떨어지면 그 차이만큼 이익을 보는 것이다. 빌려와 판 주식의 매각대금은 이자를 받고 굴릴 수도 있다. 여기까지 들으면 참 매력적인 전략이다. 하지만 “악마는 사소한 곳에 있다”고 한 것처럼 주의할 점도 많다.
첫째, 이 전략이 수익을 내려면 펀드매니저가 종목을 잘 선정해야 한다. 전통적인 주식형 펀드는 많은 종목을 보유하고 인덱스만 따라가면 매니저가 좀 못해도 시장수익률에 묻어 갈 수 있다. 하지만 롱쇼트 펀드는 전적으로 펀드매니저의 기업분석 능력에 좌우된다.
둘째, 전통적인 주식형 펀드를 잘 운용한 매니저가 롱쇼트 펀드도 잘 운용할 거라는 생각은 위험하다. 롱쇼트는 룰이 다른 게임이다. 팔고 싶은 주식을 마음껏 빌려올 수 없는 현실 때문이다. 전통적인 펀드매니저는 안 좋게 보는 주식을 덜 사거나 안 사면 되므로 운용에 제약이 없다. 그러나 롱쇼트 펀드 매니저는 빌려올 수 있는 주식만 팔 수 있다. 국내 시장은 대형주가 아니면 주식을 빌리는 게 거의 불가능해 매니저의 운신 폭이 크게 줄어든다.
셋째, 롱쇼트 전략은 통상 주식을 매수(롱)한 금액이 매도(쇼트)한 금액보다 약간 많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주가가 상승 국면에 있을 때 매도한 주식이 있어 순수 주식형 펀드 수익률보다는 성과가 낮을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투자 선택의 폭을 넓혀 주는 헤지펀드 도입을 환영한다. 미국 하버드대나 예일대의 장학기금처럼 보수적인 기금도 헤지펀드를 잘 활용해 높은 투자 성과를 올리고 있다. 다만, 투자자들이 헤지펀드를 제대로 이해하고 전체 포트폴리오 측면에서 신중하게 투자에 나서기를 바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