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의 전문계고 출신 채용률 1%'의 슬픈 현실은 취업 현장 실태를 반영하지 못한 어리숙한 행정의 대표적인 정책실패 사례로 남을 것으로 보인다. 한 대학 연구모임이 도발적으로 제기한 '학력철폐' 문제는 순식간에 사회적 반향을 일으키며 실제 정책으로 구현됐지만, 현실에선 엉뚱한 방향으로 튀면서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잉태했다. 학력 차별이 제도적으로는 없어졌지만 결과적으로 그나마 있던 소수의 고졸 일자리까지 빼앗는 사태를 초래했다. 정부는 "의도했던 것과 다른 방향으로 정책이 집행됐다"고 해명하지만, 정책 실패의 부작용을 개선하려는 노력조차 보이지 않았다는 점에서 비판받아 마땅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 '평등해질 줄 알았건만…' 어긋난 현실
공공기관 채용과 관련해 학력철폐 문제가 처음 제기된 것은 노무현 정부 때인 2003년 12월. 당시 이화여대 여성학과 교수 등 여성학·사회학 전공학자 5명으로 구성된 '차별연구회'라는 연구모임은 국가인권위원회에 "공기업과 공공기관의 학력 연령 채용기준은 차별행위로 평등권을 침해한다"며 진정서를 냈다.
이 진정서 한 장에 국가인권위원회는 발빠르게 움직였다. 인권위는 2005년 6월 24개 공공기관과 43개 공기업에 대한 학력, 연령 차별 직권 조사에 나섰다. 인권위는 강도 높은 조사 끝에 학력제한 철폐를 권고했고, 당시 기획예산처는 2007년 공공기관 인사지침을 '채용 과정에서 학력제한을 없애는' 방향으로 개정했다.
현 정부 들어서는 국무총리실이 지난해 7월 공공기관의 학력차별 완화를 위한 학력규제 개선방안을 내놓았다. 총리실 관계자는 "전수조사 결과 아직 학력제한을 두는 기관이 있어서 안을 내놨다"고 했지만 변변한 학력차별 완화책을 못 찾다 보니 전 정부정책에 숟가락을 얹은 셈이다. 현실에서는 학력 차별이 더욱 심해졌다. 채용공고 상에는 '학력을 묻지 않는다'고 명시했지만 실제로는 전문계고 출신과 석·박사 출신이 함께 경쟁하는 구조가 됐다. 학력 철폐 이후 대졸 공채는 물론 고졸 공채자리도 대출 출신들이 차지했다. 과잉 학력으로 고졸출신이 설 자리가 없어진 셈이다.
인권위 김은미 차별조사과장은 "애초 취지와 다르게 제도가 운영된 건 인정한다. 개선할 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2003년 당시 진정서 제출을 주도했던 '차별연구회' 멤버인 조순경 이화여대 여성학과 교수는 "실태를 파악하지 못했다"고 인정하면서도 "학력제한 철폐 때문에 역차별이 생겼다는 것은 인과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 공공기관 채용공고를 보면 개선이 많이 됐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추가 인터뷰 요청에 조 교수는 "차별연구회는 개별 멤버가 입장을 표명하지 않는다"며 거부했다.
● 누리꾼들은 '부글부글'
공공기관 고졸 채용률이 1%에 불과하다는 본보 보도에 이날 누리꾼들은 인터넷 포털 등에 댓글로 대거 공감을 표시했다. 누리꾼들은 "정부가 하는 짓은 겉치레 일뿐이다. 채용한다고 해도 모두 계약직이니 속지말자", "이러니까 대학 진학률이 80%가 넘는다", "대통령은 사기업만 보채지 말고 공공기관부터 바꿔라"며 분노를 표시했다.
누리꾼 아이디 'qvkim'는 "공부 잘하고 좋은 대학 나온 사람만 골라 쓴 삼성에도 스티브 잡스 같은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인재는 한 명도 없다"며 "지금처럼 사람을 껍데기와 간판만으로 판단해서 인재를 쓴다면 우리에게는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인재는 절대 안나온다"고 밝혔다. 공공기관도 기업인데 고학력자를 선호하는 것은 당연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누리꾼 오 모 씨는 "솔직히 뽑는 사람 입장에서는 뽑을 사람이 넘쳐나는데, 기왕이면 다홍치마라고 고학력자를 원한다"고 했다. 아이디 'kyeong6651'는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 후 공기업에 입사해서 주위의 부러움을 한 몸에 받고 있는 친구를 봤다"며 "누구나 다 대학을 간다는 것 보다는 각자의 소질을 살려 역량을 키워 갈 수 있는 사회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황형준 기자 constant25@donga.com 이상훈 기자 january@donga.com
좋아요
0개
슬퍼요
0개
화나요
0개
댓글 5
추천 많은 댓글
2011-07-23 00:34:12
대학 안 나와도 할 수 있는 일이 얼마든지 있는데 그런 일을 대졸자들이 하는 것은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국가적으로, 경제적으로 큰 손실이다.
2011-07-23 00:07:59
이런 기사가 오히려 역차별을 가져오지 않을까 우려스럽다. 내가 원하는건 공무원처럼 학력을 묻지말고 공정한 시험을 통해 인재를 채용하라는 것이지 고졸만을 별도로 채용하는 역차별을 하지 말라는 점이다. 현대차에서 고졸만을 뽑는게 대표적인 예이다. 고졸채용 붐이 일고 있는데 실력도 없는 고졸이 시대의 조류에 의해 채용되는 일은 절대 없어야 한다.
2011-07-23 05:45:39
전혀 설들력 없는 내용이다. 몇가지 사실을 마치 전체인 것처럼 기사화한 것같다. 사실을 많이 왜곡한 기사이다. 현장에선 지금 고학력 인건비 때문에 대졸보다 고졸이나 전문대 졸 출신을 선호한다. 특히, 공장 현장에선 실습위주로 수업을 받은 공고생들을 선호하는 것이 현실정이다. 아마도 특정직의 경우를 모든분야에 전체으로 적용되는 것처럼 말하고 있는 기사임. 보아하니 과거 정부 비난하려고 쓴 글이네. 웃긴다. ㅎㅎㅎ 아직도 우리를 이런 편향된 글을 판단도 못하는 독자라고 생각하나 보다.
전혀 설들력 없는 내용이다. 몇가지 사실을 마치 전체인 것처럼 기사화한 것같다. 사실을 많이 왜곡한 기사이다. 현장에선 지금 고학력 인건비 때문에 대졸보다 고졸이나 전문대 졸 출신을 선호한다. 특히, 공장 현장에선 실습위주로 수업을 받은 공고생들을 선호하는 것이 현실정이다. 아마도 특정직의 경우를 모든분야에 전체으로 적용되는 것처럼 말하고 있는 기사임. 보아하니 과거 정부 비난하려고 쓴 글이네. 웃긴다. ㅎㅎㅎ 아직도 우리를 이런 편향된 글을 판단도 못하는 독자라고 생각하나 보다.
2011-07-23 00:54:14
이화여대 여성학과 교수임용에도 학력차별 철폐하라. 우수한 중졸, 고졸 출신 교수나오게...
2011-07-23 00:51:59
원래 좌파들은 권력을 잡으면 코드 맞는 좌파들의 기득권 강화에만 권리를 외치며 철밥통을 만들지. 법공노니 전공노니 민노총이니 전교조니 전부 기득권 좌파들이지. 이걸 모르고 좌파 찍어대는 국민들이 바보일 뿐. 좌파 찍어봐야 기득권 노조 좌파들의 철밥통만 강화되지 일반 국민들은 먹을거 없다. 아니면 국가부채 늘려서 복지 운운하며 나눠주는 척 하며 콩고물 왕창 먹기. 거 뭐 뻔한 거지.
2011-07-23 00:34:12
대학 안 나와도 할 수 있는 일이 얼마든지 있는데 그런 일을 대졸자들이 하는 것은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국가적으로, 경제적으로 큰 손실이다.
2011-07-23 00:07:59
이런 기사가 오히려 역차별을 가져오지 않을까 우려스럽다. 내가 원하는건 공무원처럼 학력을 묻지말고 공정한 시험을 통해 인재를 채용하라는 것이지 고졸만을 별도로 채용하는 역차별을 하지 말라는 점이다. 현대차에서 고졸만을 뽑는게 대표적인 예이다. 고졸채용 붐이 일고 있는데 실력도 없는 고졸이 시대의 조류에 의해 채용되는 일은 절대 없어야 한다.
댓글 5
추천 많은 댓글
2011-07-23 00:34:12
대학 안 나와도 할 수 있는 일이 얼마든지 있는데 그런 일을 대졸자들이 하는 것은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국가적으로, 경제적으로 큰 손실이다.
2011-07-23 00:07:59
이런 기사가 오히려 역차별을 가져오지 않을까 우려스럽다. 내가 원하는건 공무원처럼 학력을 묻지말고 공정한 시험을 통해 인재를 채용하라는 것이지 고졸만을 별도로 채용하는 역차별을 하지 말라는 점이다. 현대차에서 고졸만을 뽑는게 대표적인 예이다. 고졸채용 붐이 일고 있는데 실력도 없는 고졸이 시대의 조류에 의해 채용되는 일은 절대 없어야 한다.
2011-07-23 05:45:39
전혀 설들력 없는 내용이다. 몇가지 사실을 마치 전체인 것처럼 기사화한 것같다. 사실을 많이 왜곡한 기사이다. 현장에선 지금 고학력 인건비 때문에 대졸보다 고졸이나 전문대 졸 출신을 선호한다. 특히, 공장 현장에선 실습위주로 수업을 받은 공고생들을 선호하는 것이 현실정이다. 아마도 특정직의 경우를 모든분야에 전체으로 적용되는 것처럼 말하고 있는 기사임. 보아하니 과거 정부 비난하려고 쓴 글이네. 웃긴다. ㅎㅎㅎ 아직도 우리를 이런 편향된 글을 판단도 못하는 독자라고 생각하나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