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카페]‘사과’ 모르는 애플

  • 동아일보
  • 입력 2011년 8월 5일 03시 00분


송인광 산업부 기자
송인광 산업부 기자
“방송통신위원회가 오히려 우리는 잘못한 것이 없다고 증명해 준 것이죠.”

3일 위치정보 수집과 관련해 세계에서 처음으로 정부 차원에서 위법 판결을 받은 애플코리아의 반응이다.

애플은 아이폰에서 위치정보 서비스를 끈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했다. 사용자의 동의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실정법 위반이다. 이에 대해 애플은 단순히 ‘버그’(제작 실수)였다고 해명했다.

또 애플은 수집한 위치정보도 개인이 아니라 개인 부근의 기지국 위치정보이기 때문에 문제될 것이 없다고도 했다. 기지국 정보가 개인 위치정보가 아니라는 해명은 그야말로 ‘눈 가리고 아웅’ 식 말장난이다. A라는 사람의 스마트폰에 저장된 위치정보가 ‘교보문고(광화문점), 세종문화회관, 경복궁 근처 기지국’으로 나왔을 때 그의 위치가 대략 ‘광화문광장’ 어디쯤이라는 것을 떠올리지 못할 사람이 있을까.

애플 측은 기지국의 정보라도 개인의 스마트폰에 저장되기 때문에 분실이나 해킹을 당하지 않으면 밖으로 새나갈 위험이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위치정보를 다루는 업체로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의의 사태에 대비해 철저한 보안책을 만들어내지는 못할망정 책임을 사용자에게 전가하고 있다.

사실 애플의 이런 ‘안하무인’ 식 태도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제품 판매 후 어떤 문제가 발생해도 환불을 하지 않는 정책은 유명하다. 아이폰4의 수신불량 문제를 지적하는 사용자들에게 ‘케이스를 사용하면 된다’며 대수롭지 않다는 듯 대응하기도 했다.

애플은 올해 2분기(4∼6월)에 노키아를 제치고 세계 스마트폰 시장 1위에 올랐다. 보유 현금만 760억 달러에 달해 미국 정부(740억 달러)보다 많다. 하지만 최근 행태를 보면 아이폰의 신화적인 성공에 취해 ‘소비자 만족’이라는 기본적인 가치를 잊은 건 아닐까 궁금하다.

미국의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는 2일 애플을 ‘중국 공산당’에 비유했다. 불명료한 정책과 비밀주의, 그리고 노동권에 대한 무관심 등이 유사하다는 것이다. 이런 불명예스러운 비유를 당하는 애플에 한국 속담 하나를 소개하고 싶다.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

송인광 산업부 기자 light@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3

추천 많은 댓글

  • 2011-08-05 19:02:30

    썩은 사과는 행정벌과 법원의 판결이 구별된다는 기초적인 법률 지식도 없나? 아니면 사실을 왜곡해서 여론을 호도하려는 잔머리를 쓰는 건가..

  • 2011-08-05 17:55:27

    정말 통쾌한 기사입니다. 그런데, 삼성전자가 소비자를 무시했다고 이렇게 비판하는 기사를 본적은 없는데... 역시 큰 광고주라서 못하는 건가요? 소비자를 위해서 삼성전자도 이렇게 좀 시원하게 비판해 주시죠. 될라나 몰르겠지만....

  • 2011-08-05 10:50:00

    북개나 애플이나 인간개조는 아닌가 싶다. 낯짝이 두꺼워도 악어 가죽을 통 홵 뒤집어 쓴 애플.... 애플을 엎어놓고 매우 쳐라!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