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전국을 강타한 기습 폭우로 침수차량이 크게 늘면서 자동차보험 손해율(보험료에서 보험금으로 지급되는 비율)이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손해보험사들의 실적이 악화되면서 하반기 자동차보험료 인하 가능성도 사실상 사라졌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7월 한 달 동안 1만1362대의 자동차 침수피해 신고가 접수됐다. 종전 최고기록인 지난해 9월의 1만1198대를 웃도는 수치다. 이 통계는 자기차량손해 담보(자차보험·자기차량이 고장 났을 때 보상해주는 보험)에 가입한 차량만 대상으로 한 것이어서 실제 침수 피해는 2만 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피해금액도 사상 최고다. 신고된 피해금액만 801억2600만 원으로, 지난해 9월(356억6500만 원)의 2배를 훌쩍 넘었다. 완전침수 차량이 많아 차량 1대에 피해금액도 705만 원으로 사상 최고치였다.
고객에게 보상을 해줘야 하는 손보사들도 울상을 짓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7월에 13개 주요 손보사의 평균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77.6%로 전달(73.3%)보다 4.3%포인트 상승했다. 손해율이 높아질수록 보험사 부담이 커지는데, 대형 보험사들은 통상 72%를 손익분기점으로 본다. 7월에 이어 본격 휴가철인 8월에도 사고가 많아 손해율이 더 올라갈 것으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험료 인하도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지난해 자동차보험료가 3% 인상됐고 올들어 손해율이 70%대 초반으로 안정되자 보험료 인하 요구 목소리가 높아졌었다. 금감원도 하반기에 보험료 인하 여력을 따져본다는 계획이었지만 침수 피해가 워낙 커 연말까지 추이를 지켜보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