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의 화학계열사인 포스코켐텍이 철강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인 콜타르를 활용해 탄소소재인 침상코크스를 만드는 사업을 시작한다.
포스코켐텍은 일본에서 미쓰비시화학, 미쓰비시상사와 함께 침상코크스 제조와 판매 합작사업 회사 설립에 관한 기본 방침에 합의했다고 6일 밝혔다. 합의 내용에 따르면 포스코켐텍은 미쓰비시와 함께 전남 광양의 22만5000m² 땅에 연간 10만 t 규모의 침상코크스 공장을 2014년까지 짓기로 했다.
전 세계에서 6개사만 프리미엄급 침상코크스 제조가 가능하며 그중 약 80%가 정유공정의 부산물을 원료로 하고 있다. 반면 포스코켐텍은 미쓰비시화학과의 기술협력을 통해 철강생산 공정에서 발생되는 콜타르를 원료로 하는 프리미엄급 석탄계 침상코크스를 제조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포스코는 철강 생산 과정의 부산물인 콜타르는 팔고 침상코크스와 같은 탄소소재는 수입에 의존해 왔다. 그러나 이제 철강생산 공정에서 연간 약 50만 t 발생되는 이 콜타르를 이용해 코크스를 직접 만들 수 있게 됨에 따라 탄소소재산업의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정준양 포스코 회장은 “마그네슘, 리튬, 희토류, 음극재에 이어 제철 부산물을 활용한 탄소소재사업에 진출해 종합소재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게 됐다”고 말했다.
김선우 기자 sublime@donga.com :: 콜타르 ::
아스팔트 찌꺼기와 비슷한 탄소소재이며 침상코크스는 콜타르를 증류 및 정제한 후 고온 고압의 열처리 공정을 통해 만드는 바늘 모양의 석탄 덩어리를 말한다. 주로 반도체, 발광다이오드(LED), 태양전지, 2차전지, 전극재, 전극봉 등의 소재로 사용되는 고부가가치 탄소소재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