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스公 사장―北대표단 동시에 방러… 남-북-러 가스관 급물살

  • 동아일보
  • 입력 2011년 9월 15일 03시 00분


3국 실무회담 성사 가능성

남북한과 러시아를 잇는 가스관 프로젝트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가스관 사업의 실무 추진을 맡은 한국가스공사 사장과 북한 원유공업성 대표단이 동시에 러시아를 방문하면서 남-북-러 3국 실무회담에 대한 기대도 나오고 있다.

14일 가스공사와 통일부에 따르면 주강수 가스공사 사장은 이날 오후 러시아사업팀의 주요 실무진과 함께 급작스럽게 러시아로 출국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갑자기 잡힌 일정이어서 해당 부서에서도 오후에 출국을 파악했다”고 전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도 김희영 원유공업상을 단장으로 하는 북한 원유공업성 대표단이 러시아를 방문하기 위해 13일 평양을 떠났다고 보도했다. 김 단장은 이 사업의 러시아 측 실무자인 알렉산드르 아나넨코프 러시아 가스프롬 부사장을 7월 초 평양에서 만난 바 있다. 아나넨코프 부사장은 지난달 초 러시아에서 가스공사 주 사장과도 면담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선 러시아에서 남-북-러 가스관 사업을 논의하기 위한 3국 실무회담이 전격 성사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명박 대통령이 추석을 하루 앞두고 진행한 ‘국민과의 대화’에서 이 사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생각보다는 빠르게 진전될 것”이라고 밝힌 것도 3국 실무회담 가능성에 힘을 실어주는 부분이다.

그러나 정부 관계자는 “3국 동시 회동이 이번에 이뤄지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럴 만한 논의가 충분히 진전되지도 않은 데다 북측은 정부, 남측은 기업 인사가 러시아를 방문하는 것이어서 한자리에서 얼굴을 맞댈 상대로도 적절하지 않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러시아가 중재자 역할을 하되 한-러, 북-러의 양자 협의 형식으로 진행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주 사장은 출국 전 북측 인사를 만나기 위한 접촉 신청 절차를 밟지 않았다. 하지만 사후 승인도 받을 수 있어 3자 회담이 이뤄질 여지는 여전히 남아 있다.

가스공사와 가스프롬은 2008년 9월 가스관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고 이후 기본적인 계획안도 함께 작성했다. 하지만 계획이 실제 사업으로 이어지려면 북한을 방문해 가스관 설치 지역을 면밀히 실사해야 한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가스관 통관료에 대한 국제적 스탠더드 수용 여부를 놓고 러시아가 북한과 협의를 계속하고 있다”며 “러시아가 열심히 하고 있으니 지켜보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세진 기자 mint4a@donga.com  
이정은 기자 lighte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5

추천 많은 댓글

  • 2011-09-15 15:01:13

    이북벌갱에게 가스통과료라는 명목으로 이득을 주려는 자들, 정몽준씨 정계를 은퇴하는게 좋을것같다, 무소속 출신자로 기억되는인간, 한나라당에 들어와서 분란일으 키는 존재, 구시대적 자원을 대한민국 국민에게 쓰라고 한다면 ,문제다 , 친환경자원을 개발하고 지구 온난화 억제해야 될판에 무자격자들이 10년앞을 안보고, 행동하는게 의심간다, 군사분계선에 살상무기를 대한민국을 향해 배치된싯점에 , 살상무기를 없애는 회담부터하는게 어떨까?

  • 2011-09-15 12:39:11

    잘하다가 삼천포로 빠지는 꼴이다. 러시아가 배관을 깔고 가스는 우리가 받는만큼 돈을 지불하면 된다지만 북한땅 통과료를 매년 1-2억 달러씩 북에 준다던데 그건 절대 아니다. 금강산관광 개성공단은 그걸 보는 북한 주민들 입소문으로 북을 변화시키는 단초가 될수도 있지만 지하관으로 오는 가스는 쥐도 새도 몰라 북한변화는커녕 거금을 독재자에게 강탈당하는 꼴 아닌가. 대북문제 하나는 잘 한다더니 이게 뭔가.

  • 2011-09-15 11:11:38

    북한을 통과하는 가스관 건설은 신중하게 다루어야 한다. 시설을 해 놓은 다음 또 무슨트집을 잡아 가스관을 막아 놓고 흥정을 벌릴 것인지 금강산 재산권몰수 같은 짓을 않한다는 보장은 없다. 아무리 생각해도 적지인 북한땅을통과하는 가스관 건설은 무리인 것 같다. 러시아가 확실하게 보장을 하면 모를가. 러시아가 북한에서 허튼짓을 못하게 확실하게 쐐기를 박는 보장을 받은 다음에 추진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