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가 남자보다 알뜰? 2030은 반대!

  • 동아일보
  • 입력 2011년 10월 31일 03시 00분


현금영수증 男이 3배 더 챙겨… 포인트 적립도 男 〉女역전경기침체에 합리적 소비 늘어

회사원 김모 씨(32)는 요즘 적립카드와 각종 할인쿠폰용 지갑을 하나 더 갖고 다닌다. 점심식사 후 즐겨 찾는 커피전문점의 도장쿠폰, 주유소 적립카드, 백화점 무료주차권, 통신사 카드 등 평상시 소지해야 할 적립카드와 쿠폰이 10개가 훌쩍 넘기 때문이다. 편의점에서 1000원짜리 음료수 한 병을 살 때도 현금영수증을 꼭 발급받는다. 적은 돈이라도 틈틈이 모아두면 연말 소득공제 때 환급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주위 사람들은 ‘쫀쫀하다’고 빈정대지만 김 씨는 “주유할 때 적립카드 포인트만 잘 모아도 영화 한 편을 공짜로 볼 수 있다”며 “편의점에서 물건을 살 때도 에누리를 받을 수 있는 통신사 카드를 늘 제시한다”고 말했다.

고물가 시대 20, 30대 젊은 남성들의 소비가 여성들보다 더 깐깐해지고 있다. 여성의 전유물처럼 여겨지던 할인·공짜쿠폰을 모으는 것은 물론이고 할인카드와 멤버십카드로 무장한 채 합리적 소비에 나서고 있다.

30일 훼미리마트에 따르면 올 들어 이 편의점에서 물건을 살 때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은 건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0% 증가했다. 이를 성별, 연령대별로 구분해 보면 20, 30대 남성 소비자 비중이 34.4%였다. 반면 같은 연령대의 20, 30대 여성 소비자는 10.4%에 그쳤다.

훼미리마트 관계자는 “편의점에서는 1만 원 미만의 소액 결제가 많아 현금영수증을 발급받는 사람이 대형마트나 백화점보다 적은 편인데 올 들어 젊은 남성 소비자들이 발급을 요구하는 경우가 부쩍 늘었다”고 말했다. 금액이 적더라도 연말 소득공제에 환급받기 위한 것이다. 지난달 말 현재 훼미리마트에서 포인트카드로 적립금을 쌓은 20, 30대 소비자 가운데 남성이 60.9%로 여성(39.1%)보다 훨씬 많았다. 이 역시 한 푼이라도 더 모으겠다는 젊은 남성 소비자가 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다.

젊은 남성들의 깐깐한 소비는 구입하는 제품에서도 확연히 드러났다. 이 편의점에서는 최근 도시락을 사면 음료를 할인해 주는 행사를 진행했는데 전체 구매 고객 가운데 52.0%가 20, 30대 젊은 남성이었다. 훼미리마트 관계자는 “덤 상품을 얹어주는 프로모션을 진행할 때 호응이 가장 높은 소비자층은 20, 30대 남성”이라며 “도시락 묶음상품으로 알뜰하게 한 끼를 해결하고 포인트까지 쌓으려는 소비자가 많다”고 설명했다.

주부들이 주로 찾는 홈쇼핑에서도 알뜰 구매를 하려는 20, 30대 남성의 방문이 늘고 있다. GS샵에서 할인 쿠폰을 쓰는 젊은 남성들의 비중은 2009년 75.7%였으나 올 들어서는 80.0%로 4.3%포인트 늘어났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예전에는 남성들이 여성에 비해 소규모 지출에 무관심했지만 최근에는 달라지고 있다”며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젊은 남성들도 합리적인 소비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효진 기자 wiseweb@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3

추천 많은 댓글

  • 2011-10-31 15:17:45

    그리 아끼고 아껴 돈 모아서 여친 선물 사줘야지 아! 남자들 불쌍타~~

  • 2011-10-31 13:19:06

    조금의 오차가 있긴 해도 남성들의 알뜰함이 점점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죠. 편의점에 기프티콘,쇼를 바꾸러온 손님은 대부분 여성이었는데 요즘은 남성들도 많아졌고 쇼핑몰 할인쿠폰을 적용하는등 남성회원들도 많이 달라졌다고 합니다. 아직까지는 포인트 같은 적립카드를 쓰는 남성은 적지만 조만간 바뀌지 않을까 생각이 드는군요.

  • 2011-10-31 10:02:49

    경제 채널을 보니까 유망사업을 소개하는데 영화무료관람 티켓을 파는 게 나오더라구. 한장에 5백원에 사서 업자들에게 천원에 판단다. 그럼 그 업자들이 커피 마시러 오는 손님들에게 그 티켓을 부료로 나눠준다고. 돈 만원 가까이 주고 영화 보는 사람은 완전 바보가 되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들더라구. 그리고 온갖 할인. 차라리 그냥 그런거 다 치우고 영화비를 5천원에 하는게 공정한게 아닌지. 하여간 영화 관련하여 유통질서가 너무 엉망이다. 공정위는 뭘 하는지.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