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는 조석 2차관 주재로 한국의류산업협회,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등 10개 업종별 단체, KOTRA 관계자 등과 함께 24일 회의를 열어 유턴 기업 지원대책을 논의했다. 이 회의에서 지경부는 유턴 기업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액세서리, 의류, 신발, 전자, 기계의 5개 업종별 태스크포스(TF)를 만들기로 했다. 또 KOTRA 안에 ‘유턴 기업 지원센터’를 설치하고 중국 칭다오(靑島) 등 KOTRA 해외무역관에는 ‘유턴 기업 지원 데스크’를 만들 예정이다.
최근 한미, 한-EU 자유무역협정(FTA) 발효와 중국 내 임금수준 상승, 한국 브랜드 선호 등의 영향으로 국내로 되돌아오려는 기업들은 꾸준히 늘고 있다. 실제로 중국에 진출한 신발 및 액세서리 업종 중소기업 10여 곳이 돌아오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 FTA를 통해 미국으로 상품을 수출할 때 약 10%의 관세가 사라지는 혜택을 누릴 수 있어서다.
정부는 이 같은 유턴 기업에 법인세와 소득세 감면 등 실질적인 혜택을 줄 방침이다. 생산시설을 비(非)수도권으로 옮기는 유턴 기업에 대해선 설비를 들여올 때 관세를 감면해 주기로 했다. 이 밖에 산업단지 입주 시 우선권과 수출신용 보증한도 상향 조정, 보증료 할인 혜택도 제공된다. 중소기업들의 주된 애로사항 중 하나인 외국인 인력 고용에서도 재고용 외국인들의 비자발급을 내국인 고용 규모의 최대 20%까지 허용할 계획이다.
국가가 나서 유턴 기업을 지원하는 것은 이미 세계적인 추세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은 올 초 국정연설에서 “본국으로 회귀하는 기업에는 세금을 우대하고 그러지 않는 기업은 세제상 불이익을 주겠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 컨설팅 업체인 보스턴 컨설팅 그룹(BCG)은 올 3월 작성한 ‘미국 제조업의 부활 가능성’ 보고서에서 2015년까지 중국에서 미국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할 가능성이 높은 부문으로 운송과 컴퓨터, 전자, 기계 등 7개 산업분야를 제시했다. 이를 통해 10년간 220만∼310만 명의 고용창출 효과를 거둘 것으로 전망했다.
일본 역시 수도권 내 공장설립 제한 규제 등을 풀면서 2002년 소니가 중국에서 만들던 수출용 비디오카메라 공장을 일본 나고야로 옮기는 등 유턴 기업 수가 꾸준히 늘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