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세계 9번째로 ‘무역 1조 달러’를 달성했던 우리나라가 유럽 재정위기에서 비롯된 글로벌 경기침체로 수출입이 동시에 줄어들어 1조 달러 수성에 비상이 걸렸다. 정부는 무역보험 한도를 늘리고, 대중(對中) 수출전략을 다시 짜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지식경제부는 14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올해 수출동향과 대책을 보고했다. 지경부는 올 5월까지 수출실적이 예상보다 악화됨에 따라 올해 무역규모가 당초 전망(수출 5950억 달러, 수입 5700억 달러)을 밑돌 것으로 보고, 이달 말쯤 수정치를 발표하기로 했다.
무역 주무부처인 지경부의 홍석우 장관은 최근 일요일마다 한진현 무역투자실장을 불러 수출입 동향을 주간 단위로 보고받는 등 잔뜩 긴장한 분위기다. 지경부 고위 당국자는 “무역 1조 달러 달성이 현 정부의 최대 치적 중 하나인 만큼 홍 장관이 무역수지 동향에 매우 민감하다”고 전했다.
정부는 대외 악재에도 불구하고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무역 1조 달러 달성은 무난하다고 주장하지만 올 들어 유럽에 이어 한국의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 수출액마저 꺾이면서 낙관하기 힘든 상황이 됐다. 지난달 중국 수출액은 63억69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0.3% 줄었다. 우리나라 수출의 4분의 1가량을 차지하는 중국 수출이 두 자릿수로 감소한 것은 43개월 만에 처음이다.
정부는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중소, 중견 기업을 대상으로 한 무역보험 지원 규모를 지난해 190조 원에서 올해 200조 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수출입은행의 금융지원 규모도 3조 원가량 증액할 방침이다.
수출용 중간재 중심인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전략도 최종 소비재 혹은 중국 내수용 중간재 위주로 바꾸기로 했다. 이는 중국의 최대 수출국인 유럽연합(EU)의 경기침체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정부는 중국 토종 대기업을 대상으로 국내 부품업체들을 연결해 줄 수 있는 상담회도 잇달아 개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에너지, 플랜트 분야를 중심으로 한 제2의 중동 붐을 지원하는 한편 자유무역협정(FTA)과 한류 마케팅을 수출 확대에 최대한 활용하는 방안도 모색하기로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