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K기업은행에서 2007년 12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행장을 지낸 윤용로 외환은행장과 2008년 10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수석부행장으로 손발을 맞춘 조준희 기업은행장이 인사 및 채용제도를 둘러싸고 ‘원조’ 타이틀까지 거론하며 팽팽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두 행장은 한국외국어대 74학번 동기이기도 하다.
발단은 기업은행장을 거쳐 하나금융 부회장을 지낸 뒤 올해 2월 외환은행장이 된 윤 행장이 기업은행이 먼저 시행한 것과 비슷한 인사 및 채용제도를 도입한 데 있다. 외환은행은 2일 한국으로 귀화한 외국인 직원을 채용한다고 밝혔다. 일부 지방은행이 다문화가정의 이주여성을 1, 2명 채용한 적은 있지만 전국 영업망을 가진 대형은행이 귀화한 외국인 직원을 대규모로 뽑은 것은 3월 기업은행의 12명 채용이 최초였다.
외환은행은 지난달 22일에도 간부급 직원과 일반 직원의 인사를 같은 날 단행하는 소위 ‘원 샷 인사’를 이달에 실시하겠다고 했다. 업무공백 최소화, 인사 청탁 방지 등의 장점이 있는 ‘원샷 인사’는 역시 1월 기업은행이 은행권 최초로 시행했다. 은행 인사부서 경험이 많은 조 행장은 ‘원샷 인사는 ‘인사통’인 나만 할 수 있는 제도‘라는 자부심이 대단했었다.
외환은행이 지난달 3일 23명의 젊은 직원으로 구성된 ‘영 리더’ 임원단 발대식을 연 것도 조 행장의 심기를 거슬리게 했다. 영 리더는 젊은 엘리트 행원들이 정기적으로 행장을 포함한 간부들과 만나 혁신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경영능력을 키우는 제도다. 기업은행은 2006년부터 영 리더 제도를 시행해오고 있다.
기업은행 측은 “상품도 아니고 어떻게 다른 은행의 인사 및 채용제도를 따라할 수가 있느냐”고 분개하고 있다. 기업은행의 한 관계자는 “도의적인 면을 떠나 자존심이 없는 것 아니냐”고 직격탄을 날리기도 했다.
반면 외환은행 측은 이주여성 채용이나 영 리더 발대식은 딱히 기업은행이 ‘원조’라고 주장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이주여성 채용은 지방은행이 먼저였으며 ‘영 리더’는 2000년대 초반 외환은행 안에서 ‘청년중역회의’라는 제도로 실시했던 것을 재손질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외환은행 관계자는 “‘영 리더’라는 이름 역시 사내 공모를 통해 채택했다”라며 “‘원샷 인사’의 원조는 기업은행이지만 다른 은행이 이를 따라하면 기업은행 측이 오히려 홍보효과를 얻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일부 금융권 관계자들은 조 행장과 윤 행장이 기업은행 때부터 벌여온 경쟁관계가 소속 은행이 달라진 뒤에도 ‘연장전’ 형태로 이어지는 것이라는 해석까지 내놓고 있다. 당시 조 행장은 내부 인사로 선이 굵다는 평가를, 윤 행장은 관료 출신으로 꼼꼼하고 치밀하다는 평가를 받아 업무 스타일이 서로 크게 달랐다는 후문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