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취업자 수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빠르게 회복되긴 했지만 경제성장률 1%당 고용창출 능력 면에서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20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정부의 근로시간 단축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한국 근로자의 근로시간은 여전히 OECD 회원국 중 가장 긴 편이었다.
기획재정부가 16일 내놓은 ‘한국 고용의 현주소, OECD 국가와 주요 고용지표 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고용탄성치는 2004∼2011년 평균 0.29로 영국(0.42) 프랑스(0.47) 독일(0.93) 등에 크게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탄성치’는 경제가 1% 추가로 성장할 때 취업자가 얼마나 증가하는지 나타내는 지표로 이 지표가 0.29면 한국 경제가 1% 더 성장할 때 취업자 수는 0.29%밖에 늘지 않았다는 뜻이다. 한국은 OECD 34개 회원국 중 관련 자료가 공개된 31개국 중에서 미국(0.14) 일본(―0.70)보다는 높았지만 순위는 20위에 머물렀다.
재정부 당국자는 이런 현상에 대해 “한국 기업의 해외투자가 확대되고 취업자 수를 많이 늘릴 수 있는 서비스업 비중이 선진국에 비해 낮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한국의 취업자 전체 숫자는 상대적으로 빠르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07∼2011년 4년간 한국의 취업자 증가율은 81.1%로 멕시코(361.8%) 터키(335.0%) 독일(174.9%) 등에 이어 31개국 중 7위였다. 특히 지난해에는 취업자가 41만5000명 늘어 5위로 올라섰다. 또 지난해 한국의 실업률(3.5%)과 6개월 이상 장기실업자 비중(6.8%)은 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한편 정부가 지난해부터 일자리 확충 차원에서 추진한 ‘근로시간 단축’의 효과는 크지 않았다. 지난해 한국 근로자의 주당 근로시간은 44.6시간으로 자료가 발표된 30개국 중 터키(48.9시간)에 이어 2위였다.
보고서는 “한국이 주요 선진국에 비해 빠르게 고용이 회복되고 있지만 지속적인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며 “고용창출력을 높이기 위해 해외투자기업의 복귀에 대한 지원, 서비스업 일자리 발굴, 근로시간 단축 등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