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 꼼짝마… 살인-납치-강절도 예방설계 신도시 첫 등장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1월 15일 03시 00분


■ 범죄과학자 참여 셉테드기법 적용 시흥 ‘배곧신도시’

#1. 경기 시흥시 정왕동 일대에 4907m2 규모로 조성하는 ‘배곧신도시’. 이 신도시 설계 전문가 중엔 범죄과학자인 용인대 경찰행정학과 박현호 교수 연구팀이 있다. 이들은 시흥시 일대에서 발생하는 범죄 현황과 특성을 분석해 신도시의 도로와 공원, 공공건물, 주차장 설계에서부터 학교 배치에 이르기까지 도시 곳곳에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설계기법을 도입하고 있다.

#2. 배곧신도시에 들어서는 ‘SK뷰 아파트’는 가스배관을 타고 오르는 범죄를 사전에 차단하려고 배관시설을 아예 건물 내부로 들였다. 저층주택엔 적외선 감지기가 설치돼 가족들이 외출했을 때 집안에서 움직임이 있으면 곧바로 경비실에 통보된다. 단지 곳곳에 달린 폐쇄회로(CC)TV는 수상한 행동을 감지하면 큰소리로 경고음을 내는 동시에 관리사무소에 긴급신호를 보낸다.

흉악범죄가 끊이지 않으면서 안전과 보안이 주거환경의 최우선 가치로 자리 잡은 지 오래. 이젠 도시를 개발하거나 집을 짓기 시작하는 단계에서부터 ‘범죄와의 전쟁’이 치러지고 있다. ‘범죄예방 환경설계’인 셉테드(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가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 범죄 예방설계 신도시 첫 등장

셉테드는 집·건물·도시를 설계할 때부터 범죄를 일으킬 수 있는 환경적 요인을 미리 없애고 다양한 안전시설물을 고안해 범죄를 예방하는 기법을 말한다. 이미 영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은 신도시 개발에 셉테드를 도입해 범죄가 줄어든 사례가 많다.

국내에서는 신도시 개발 전체에 셉테드가 적용된 것은 배곧신도시가 처음이다. 2015년 완공되는 배곧신도시는 아동범죄를 예방하는 데 가장 신경을 썼다. 학교 주변에 주민센터 도서관 지구대 같은 공공시설을 집중적으로 배치했다. 또 학교와 아파트를 바로 잇는 공원을 만들어 등하굣길로 사용하도록 설계하고 있다. 공원 안에는 CCTV가 설치되는 것은 기본이고 모든 나무를 1.8∼2m 높이로 가지치기해 사방에서 훤히 볼 수 있도록 했다. 누군가가 감시하는 느낌이 들도록 공원 벤치와 잔디밭 곳곳에 사람 모양의 조형물을 세우는 깜짝 아이디어도 반영한다. 시흥시 관계자는 “주민들의 반응이 벌써부터 뜨겁다”며 “신도시를 시작으로 시 전체에 셉테드를 확대 적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 교수는 “살인범죄 1건의 사회경제적 비용이 20억 원이라는 연구가 있다”며 “도시를 만들 때부터 이처럼 범죄 방어능력을 갖춘 환경을 만들면 범죄 발생에 따른 사회경제적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셉테드 제도화 필요”

아무래도 지자체보다는 건설사들이 발 빠르다. 셉테드 도입이 더딘 도시개발에 비해 개별 아파트에 셉테드가 적용된 사례는 속속 등장하고 있다. 다음 달 인천 계양구 귤현동에서 입주하는 ‘계양 센트레빌 1차’ 아파트를 시작으로 현재 건설사 6곳이 짓고 있는 전국 8곳의 아파트가 행정안전부 산하 한국셉테드학회에서 ‘셉테드 인증’을 받았다.

이 아파트들은 정보기술(IT)을 활용한 첨단 범죄예방시설을 도입한 게 특징. 계양 센트레빌에는 CCTV보다 진화한 360도 회전하는 감시로봇이 설치돼 수상한 움직임이 포착되면 경비업체에 영상을 자동 전송한다. 서울에서 유일하게 인증을 받은 ‘강서 힐스테이트’ 아파트는 주차장에 들어선 입주자 동선을 따라 CCTV가 움직이며 관찰한다.

이경훈 고려대 건축학과 교수는 “김길태 사건 등에서 보듯 아파트보다 노후한 단독주택 지역, 재개발 지역들이 범죄에 더 취약한 만큼 도시정비 사업에도 셉테드가 적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또 형사·사법적 사후대책보다 셉테드 같은 사전대책이 범죄를 막는 근본 해결책이 되는 만큼 아동이나 여성이 많이 사용하는 건축물에 셉테드 적용을 의무화하는 등 제도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임수 기자 imsoo@donga.com
#도시개발#범죄#배곧신도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1

추천 많은 댓글

  • 2013-01-15 15:56:46

    그지역에 사는 안전한 아이들은 그렇다치고 다행입니다만은 다른지역의 아이들이 더 위험해지지 않을까요?? 좀더 계획적인고 치밀하게 준비해서 세상 모든아이들이 안전할 수있는 사회가 되길 바랍니다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