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영덕 원전 유보… 火電설비는 1580만 kW 확대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2월 1일 03시 00분


정부 전력수급계획안… 2027년까지 전력예비율 22%로

정부가 전력 예비율을 2027년까지 22%로 끌어올리기 위해 화력발전과 신재생발전 설비를 확충한다. 다만 원자력발전은 안전성을 고려해 재검토한 다음 올해 안에 다시 건설 여부를 결정한다.

지식경제부는 2027년까지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 등 화력발전 설비 1580만 kW, 신재생발전설비 456만 kW를 추가로 건설하는 내용의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기본안을 31일 발표했다. 지경부는 해당 기본안에 대한 공청회를 1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한전 본사에서 열고 7일 전력정책심의회 심의 후 공고할 방침이다.

이번 기본안에 따르면 2010년 5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반영한 확정 설비 1억953만 kW를 제외할 경우 신규 설비용량은 2957만 kW 수준이다. 이 중 절반이 넘는 1580만 kW(53.4%)를 화력발전으로 충당한다.

사업권을 따낸 기업은 석탄발전소의 경우 남동발전(영흥 7·8호기), 중부발전(신서천 1·2호기), SK건설(삼천포 NSP IPP 독립발전사업 1·2호기), 삼성물산(강릉 G-프로젝트 1·2호기), 동부하슬라파워(강릉 동부하슬라 1·2호기), 동양파워(삼척 동양파워 1·2호기) 등 6곳이다. LNG발전소 역시 GS EPS(충남 당진복합5호기), 남부발전(영남복합), 대우건설(대우 포천 1호기), SK E&S(여주), 서부발전(신평택 3단계), 현대산업개발(통영복합 1호기) 등 적지 않은 민간 기업이 사업권을 따냈다. 신규 화력발전 설비 중 민간 발전회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74.4%에 이른다.

한편 한국수력원자력이 2027년까지 강원 삼척과 경북 영덕에 짓기로 한 신규 원자력발전소에 대해서는 건설 계획을 유보했다.

정승일 지경부 에너지산업심의관은 “올해 중 원전 신규 건설 여부를 확정하겠다”며 “반대 여론이 계속돼 건설이 백지화될 경우 원자력으로 충당하기로 한 600만 kW 규모의 발전량을 화력발전으로 대체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명 기자 jmpark@donga.com
#정부#화력발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