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조 들여 46조 회수… 아듀, 부실채권정리기금

  • Array
  • 입력 2013년 2월 22일 03시 00분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부도 대기업들의 부실을 처리한 부실채권정리기금이 16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금융위원회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부실채권정리기금이 22일 정부에 반환된다고 21일 밝혔다.

캠코는 1997년 11월 부실채권정리기금을 설치한 후 39조2000억 원을 투입해 46조7000억 원을 회수했다. 회수율이 119%로 원금을 되찾고도 19%의 수익을 낸 셈이다.

1997년 1월 한보철강을 시작으로 삼미, 진로, 대농, 해태, 기아 등이 연이어 부도 처리되면서 한국 경제에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졌다. 대기업 채권을 보유한 금융회사의 부실도 급증하면서 금융시장 붕괴를 막는 게 급선무였다.

당시 금융회사들이 사용하던 채권 추심이나 법원 경매로는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부실채권을 정리하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같은 해 11월 캠코는 금융회사의 부실채권 처리를 전담할 부실채권정리기금 21조6000억 원을 조성했다. 캠코가 공적자금 회수율을 높이는 데 치우쳐 매각 적기를 놓치는 바람에 부실을 키웠다는 지적도 있다. 쌍용건설은 다섯 차례나 매각을 시도했지만 실패하는 바람에 자본잠식에 빠졌다.

반면 캠코가 대우건설을 금호아시아나그룹에 성급하게 매각해 그룹 전체가 흔들리는 ‘승자의 저주’에 빠지게 했다는 비판도 나왔다.

김유영·황형준 기자 abc@donga.com
#부실채권정리기금#외환위기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