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광고와 물류 분야에서 계열사 간 내부거래를 대폭 줄이고 이를 중소기업에 직접 발주하거나 경쟁입찰로 전환하기로 했다. 대기업그룹의 계열사 간 ‘일감 몰아주기’를 규제하기 위한 법 개정 문제가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재계 2위 그룹이 자발적인 개선방안을 내놓은 것이어서 다른 그룹으로 확산될지 주목된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국내 광고 발주 예상금액의 65%인 1200억 원과 물류 발주 예상금액의 45%인 4800억 원 규모의 물량을 중소기업에 발주하거나 경쟁 입찰을 통해 계약하기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이에 따라 연 6000억 원 규모의 새로운 사업 기회가 중소기업 등에 제공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 관계자는 그러나 “이 가운데 어느 정도를 중소기업에 직접 발주할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또 경쟁 입찰의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주요 계열사에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가칭 ‘경쟁입찰 심사위원회’를 설치하기로 했다. 이는 내부거래 물량을 경쟁 입찰로 돌린 뒤에도 그룹 내 계열사에 물량을 배정할 수 있지 않느냐는 외부 비판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현대차그룹은 그동안 그룹 광고 계열사인 이노션에 수의계약으로 발주했던 그룹 및 계열사 기업광고 제작, 국내 모터쇼 프로모션 등을 중소기업 발주 또는 경쟁입찰로 전환한다.
또한 그룹 물류 계열사인 현대글로비스에 수의계약으로 발주했던 계열사 공장 간 부품운송, 공장 내 운송 등을 중소기업 등에 개방키로 했다. 현대글로비스는 신규 사업자로 선정된 중소기업에 물류 노하우를 전수하고 국내 중소 물류기업들의 경쟁력 강화를 돕기 위한 ‘물류산업진흥재단’을 설치할 계획이다.
지난해 현대글로비스의 국내 물류사업 1조2754억 원 중 1조455억 원(82.0%)이 그룹 내부거래였고, 이노션의 국내 사업매출액 3806억 원 중 2005억 원(52.7%)이 현대차그룹 계열사에서 발주됐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해외 광고나 물류사업의 경우는 아직 신차 보안 유지나 일관 물류체계 등에 대한 선행투자가 이뤄져야 하기 때문에 이번 개선방안에 포함시키지 않았다”며 “다만 건설, 시스템통합(SI) 등 다른 분야로도 경쟁 입찰을 늘려간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다른 기업들은 현대차그룹의 이런 움직임에도 여전히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아직 정부의 방침이나 법안 통과가 확실치 않은 상황에서 내부거래 관련 방안을 공식적으로 발표하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