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美 홀랜드 배터리공장… 전기차 판매 늘며 7월부터 본격 가동

  • Array
  • 입력 2013년 5월 7일 03시 00분


오바마가 박수치고 공화당이 비판했던 LG화학 美 홀랜드 배터리공장

2010년 7월 미국 미시간 주 홀랜드 시에서 열린 LG화학의 전기자동차 배터리공장 기공식에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왼쪽)이 구본무 LG 회장과 악수하고 있다. 동아일보DB
2010년 7월 미국 미시간 주 홀랜드 시에서 열린 LG화학의 전기자동차 배터리공장 기공식에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왼쪽)이 구본무 LG 회장과 악수하고 있다. 동아일보DB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기공식에 참석하고, 공장 가동이 늦어지는 데 대해 미국 공화당의 비판을 받기도 했던 LG화학의 미국 공장이 7월부터 본격 가동된다.

LG화학은 미국 미시간 주 홀랜드 시 배터리공장이 7월 상업 생산에 들어가 9월부터 제너럴모터스(GM)의 전기차 ‘쉐보레 볼트’에 배터리를 납품할 예정이라고 6일 밝혔다.

이 공장은 원래 지난해 6월 완공 뒤 바로 제품 양산에 들어갈 예정이었지만 전기차 시장이 침체되면서 가동이 지금껏 연기됐다. 그러다 올해 1∼3월 미국 시장에서 전기차를 비롯한 친환경자동차 판매량이 늘어나면서 공장을 돌릴 수 있게 된 것이다. 쉐보레 볼트는 지난해 2만3000대가 팔렸으며, 올해는 3만 대가 팔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LG화학은 총 5개 생산라인 중 현재 3개 라인이 완공된 상태인데 1개 라인만 우선 가동할 방침이다. 회사 관계자는 “1개 생산라인을 풀가동하면 볼트 1000대에 들어갈 분량의 배터리를 매달 생산할 수 있다”며 “올해는 생산 효율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전기차 판매 추이를 봐 가며 내년부터 생산 물량을 본격적으로 늘릴 방침”이라고 말했다.

회사 측은 “아직 건설되지 않은 2개 생산라인은 2015년 9월까지 완공할 계획”이라며 “이 공장을 앞으로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 생산의 거점으로도 활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LG화학의 홀랜드 배터리 공장은 미국 연방정부로부터 1억5100만 달러(약 1700억 원)를 지원 받아 지어졌다. 2010년 7월에 열린 기공식에는 이례적으로 오바마 대통령이 직접 찾아와 “미시간 주와 미국의 미래를 새로 짓는 일”이라며 극찬하고 행사장에 온 구본무 LG 회장에게 한국말로 “안녕하세요”라고 인사를 건네기도 했다.

미래성장 산업을 적극 지원해 오바마 행정부의 전략을 홍보하는 데 ‘친환경차인 전기차용 배터리를 만드는 공장’ 기공식이라는 이벤트가 잘 맞아떨어진 상황이었다.

그러나 이후 공장 가동이 늦어지자 현지 언론에서는 ‘국민 세금으로 지은 공장의 직원들이 빈둥거리며 놀고 있다’는 비판적인 보도가 나왔고, 지난해 대선 기간 중 밋 롬니 공화당 대통령 후보 캠프가 오바마 대통령을 공격하는 데 이를 활용하기도 했다.

장강명 기자 tesomiom@donga.com
#LG화학#오바마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