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톡 경제]“대부업은 이미 제도권” 금감원장 이례적 격려 업계 변신 이끌어낼까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5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이상훈 경제부 기자
이상훈 경제부 기자
“대출은∼♪ ××××∼♬”

시도 때도 없이 TV에서 나오는 광고 덕에 웬만한 서민들은 대부업체 이름 3, 4개쯤을 꿰고 있습니다. 은행에서 큰 문제없이 돈을 빌릴 수 있는데도 급한 돈이 필요할 때는 머릿속에 대부업체 이름부터 떠오른다는 사람이 적지 않습니다. 실제로 당장 병원비로 쓸 몇십만 원이 필요할 때 의외로 많은 서민이 대부업체의 문을 두드립니다. 이처럼 서민 생활에 파고들었기 때문일까요.

15일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 한국대부금융협회가 주최한 소비자보호위원회 출범식에 최수현 금융감독원 원장이 참석했습니다. 고금리, 사채라는 인식이 강한 대부업체들이 ‘소비자 보호’를 내세운 것도 생소했지만, 금융감독 당국의 수장이 이 자리에 들렀다는 것 자체가 금융계에서는 ‘빅뉴스’였습니다. 금감원장이 대부업 행사에 참석한 건 1999년 금감원 출범 이후 14년 만에 처음입니다.

최 원장은 “금융계 행사는 보통 화려하고 손님도 많은데 오늘 행사를 보니 서민 금융의 모습을 그대로 보는 것 같다”며 인사말을 했습니다. “급한 돈이 필요한 서민에게 가장 쉽고 빠르게 자금을 공급한다는 순기능을 생각할 때 대부업은 이미 제도권 금융에 들어와 있는 셈”이라는 덕담도 건넸습니다.

한 대부업체 대표는 “은행 등 제도권 금융이 버스 지하철 같은 대중교통이라면 대부업은 비싸지만 급할 때 편하게 탈 수 있는 택시와 같다”고 비유했습니다.

여러 순기능에도 불구하고 대부업을 보는 국민의 시선은 여전히 차갑습니다. 연 30%가 넘는 고금리는 기본이고, 조금만 연체했다가는 혹독한 빚 독촉에 시달려야 합니다. 은행, 저축은행, 카드사 등에서 밀려난 저신용자들이 마지막으로 대부업체 돈을 쓰다가 신용불량자로 추락한 경우는 셀 수 없이 많습니다. 케이블TV 등에서 중독성 짙은 광고를 쏟아내며 어려움에 처한 서민을 달콤하게 유혹하는 병폐도 여전합니다.

과거 금융당국은 대부업을 사실상 ‘없는 자식’ 취급했습니다. 은행, 증권 등에 비해 ‘격이 떨어진다’는 이유도 한몫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금감원 내에 대부업검사실을 신설해 감독을 강화하고, 대부업체의 저축은행 인수를 물밑에서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등 정책의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국민행복기금을 비롯한 각종 지원책도 중요하지만, 엄연한 서민들의 ‘급전 창구’인 대부업에 대한 감시와 지원도 필요합니다. 물론 대부업계도 당국의 관심에 발맞춰 자정 노력을 더욱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이상훈 경제부 기자 january@donga.com
#톡톡경제#대부업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