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가 아홉 분기 만에 ‘전(前) 분기 대비 0%대 성장률 행진’에 마침표를 찍고 올 2분기(4∼6월) 1%대의 성장률을 보였다. 당초 대부분의 경제전문가는 올 2분기에도 성장률 1%의 벽을 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2분기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은 전 분기보다 1.1% 증가했다. 전 분기 대비 성장률은 2011년 1분기(1∼3월) 1.3%를 나타낸 이래 여덟 분기 연속 0%대를 벗어나지 못했다. 2분기 실질 GDP는 작년 동기 대비로는 2.3% 증가했다.
2분기 경제성장을 이끈 것은 정부 지출과 건설 투자였다. 정부소비 증가율은 전 분기 대비 2.4%로 1분기(1.2%)의 두 배나 됐다. 건설투자도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혁신도시 건설 등에 힘입어 3.3%의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한은 관계자는 “올 상반기 성장률 1.9% 가운데 정부의 기여도는 0.3%포인트(15.8%)”라며 “하반기에는 정부의 성장 기여도가 두 배 수준으로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은 수출 부문에선 스마트폰, 반도체 등 정보기술(IT) 상품이 성장을 견인했다. 수출은 전 분기보다 1.5% 늘었다. 다만 IT 업종의 일부 대기업이 수출을 이끌었기 때문에 기업들이나 국민들이 느끼는 체감경기와는 여전히 괴리가 있다. 국민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국내총소득(GDI)은 전 분기보다 2.7% 늘었다.
한국 경제가 하반기 본격적인 경기 회복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정부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숨 가쁘게 쏟아냈던 ‘정책 패키지’가 구체적인 성과로 나타났다고 봤다. 큰 대외 악재가 돌출되지 않는 한 내친김에 연간 ‘3%대 성장률’의 달성도 바라는 분위기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부문장은 “추경 효과가 3분기에 집중된다는 점과 수출이 좋아지는 추세 등을 감안하면 연간 3%대 성장도 불가능한 수치는 아니다”라고 전망했다.
2분기 경제지표가 정책과 재정 투입 등 인위적 수단에 주로 의존했다는 점에서 민간 주도로 경제 활력이 되살아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관측도 있다. 하반기에 세수 부족 현상이 심화되며 재정여력이 떨어지면 경기가 다시 나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세수(稅收) 감소에 따른 ‘재정절벽’ 우려와 미국의 출구전략 파장 등 국내외 변수를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올해 성장 회복의 변수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민간에서 활발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경제심리’를 살려주고 외부 충격에 대비하는 정책 기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