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협력]기업+대학, 융합과 협력 창조적 인재가 쏟아진다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11월 5일 03시 00분


코멘트

산학협력 우수 대학의 노하우

기업들이 산업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인재를 요구하면서 기업과 대학간 산학협력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고려대 산학협력단이 개최한 ‘캠퍼스 CEO DAY’행사에 참가한 대학생들의 표정에 자신감이 넘쳐보인다.
기업들이 산업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인재를 요구하면서 기업과 대학간 산학협력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고려대 산학협력단이 개최한 ‘캠퍼스 CEO DAY’행사에 참가한 대학생들의 표정에 자신감이 넘쳐보인다.
과거 대학을 상아탑(象牙塔)이라 부르던 시절이 있었다. 속세를 떠나 학문에 전념한다는 의미였다.

하지만 사회가 급변하고 과학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하는 오늘날, 시대가 대학에 기대하는 역할은 달라졌다. 모든 분야에서 협업이 강조되는 지식기반 사회에서 최고의 브레인과 연구력이 모인 대학은 국가 경쟁력의 원천으로 중요시되고 있는 것.

선진국들은 대학과 산업체가 유기적으로 어우러져 대학은 기술과 인재를, 산업체는 자금과 실무 노하우를 주고받는 구조가 정착돼 왔다.

산학협력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려는 국가 간 경쟁도 치열한 상황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산학협력 관련법이 제정된 지 10년밖에 안될 정도로 역사가 일천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구적으로 산학협력의 중요성을 깨달은 일부 대학들은 특화된 프로그램을 만들어 한 발 앞서가고 있다. 산학협력을 잘하는 대학들의 노하우를 통해 우리 대학이 가야할 길을 찾아보자.

현장이 원하는 인력과 기술 지원

영진전문대
영진전문대
기업들의 오랜 불만 중 하나는 대학 졸업자들을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대학의 교육이 현실과 동떨어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현장 맞춤형 인재를 배출해 내는 대학들은 기업이 먼저 알아본다.

한국산업기술대의 경우를 보면 학생들이 4년 내내 교내 엔지니어링하우스에서 연구와 교육을 병행하고, 산업단지에 위치한 입지적 특성을 살려 인근 기업을 학교 삼아 공부한다.

교육부의 취업률 조사에서 졸업생 2000명 이하 대학 중 부동의 1위를 고수하는 비결이다. 박철우 산기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기업의 규모나 종류에 따라 원하는 인재가 다르다. 이런 수요에 맞춰 학생을 가르치는 것뿐만 아니라 기업의 재직자들을 재훈련시키는 것도 산학협력을 통해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학이 가진 기술을 기업으로, 또 사회로 확산시키는 기술이전도 중요하다. 이 대목에서 서울과학기술대를 주목할 만하다.

이 학교 산학협력단은 대학이 개발한 기술과 지적재산권을 산업체로 넘겨 학문을 현실에 접목하고, 이 과정에서 얻은 결과를 다시 연구에 활용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고 있다.

2000년부터 기술이전 사업을 시작한 고려대는 지금까지 136억 원의 누적 기술료를 얻을 정도로 수준 높은 기술을 퍼뜨리고 있다.

정부의 신성장 분야 연구에 기업과 공동으로 참여해 세계적인 특허를 획득하고, 수익성 높은 수출 시장을 개척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융합과 통섭으로 창조경제 견인

아직까지 우리 대학은 학제간의 벽이 높아 전공의 틀, 기존 강의식 교육의 틀에 갇힌 곳이 많다. 이런 틀을 과감히 깨고 융합과 통섭을 추구하는 대학들이 산학협력의 새로운 모델로 주목을 받고 있다.

한양대 에리카캠퍼스가 시행 중인 COPE(융합, 독창성, 특허, 기업) 프로그램이 대표적이다. 융합과 특허를 통한 대학생 창업을 의미하는 COPE는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을 한 팀으로 구성해 창업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이를 특허까지 연결시킨다.

올해 1학기에만도 20개의 특허를 출원했다. 김우승 LINC사업단장은 “학생들이 교수, 기업, 변리사와 함께 특허출원 및 창업까지 직접 하면서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창조경제에서 요구하는 많은 것들이 COPE 프로그램에 녹아 있다”고 설명했다.

기존에 강한 학과들을 안주시키지 않고 융합을 통해 산학협력을 추구하는 곳도 눈에 띈다.

생명공학 및 농축산 분야에서 전통의 강호인 건국대는 이 분야 전공들을 다양하게 뒤섞은 성과물로 ‘산학 기술이전 장터’를 구축, 기업들로부터 수많은 러브콜을 받고 있다. 이를 통해 학교도 고수익을 올리고, 국가 차원의 신성장동력 분야에도 기여하는 것이다.

중앙대는 문화예술 분야의 강점을 살려 국악 관련 학교기업을 설립하는 한편 변리사와 기술가치평가사 같은 전문 인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창조경제에 부합하는 산학협력기술지주회사를 만들겠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한덕수 산학협동재단 이사장은 “지금까지 우리 산학협력은 정부 주도로 선진국의 모델을 따라하기에 급급했다. 이제는 기업과 학교가 자발적으로 한국형 산학협력 모델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업관점 대학 산학협력 평가



김희균 기자 foryou@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