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합병(M&A) 시장의 대어(大魚)로 꼽히는 ING생명과 우리투자증권 인수를 둘러싸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ING생명은 국내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에 인수돼 승인을 기다리고 있고 우리투자증권은 유력한 인수자로 역시 사모펀드인 파인스트리트가 급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모펀드가 이들 회사를 인수하면 회사 발전을 위한 재투자를 소홀히 하고 수익금을 챙겨 나가는 데 더 신경을 쓸 것이라는 우려가 일각에서 나오고 있는 것. 노조들은 고강도 구조조정에 대한 경계심을 나타내고 있다.
○ MBK, “외국 자본” vs “국내 법인”
ING생명을 인수하기로 한 MBK파트너스에 대해서는 자격 논란이 거세다. 얼마 전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 김기준 민주당 의원은 “상당액의 외국 자본을 끌어다 쓰는 MBK가 보험사를 인수할 자격이 있느냐”고 질타했다. 현행 보험업법에 따르면 외국 법인이 한국 보험사의 대주주가 되려면 보험업을 영위하고 있어야 한다.
이에 대해 MBK 측은 외국 법인이 아닌 국내 법인이라고 주장했다. 윤종하 MBK파트너스 대표는 최근 본보와 가진 인터뷰에서 “MBK는 국내 펀드이며 법적으로 외국인 출자자가 경영에 간섭할 수 없게 돼 있다”고 말했다. 윤 대표는 국내 연기금 출자액까지 공개했다. 그는 “인수금액 1조8000억 원 가운데 사학연금이 500억 원, 산은캐피탈이 300억 원을 출자했고 새마을중앙회와 지방행정공제회 등도 ING생명 인수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국민연금도 상당액을 출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윤 대표는 “국내 연기금 출자액은 모두 2000억 원이며 그 외 국내 출자액을 합치면 4500억 원에 이른다”며 “인수금 가운데 대출금 등을 제외하면 외국 자본의 비율은 절반에 약간 못 미친다”고 덧붙였다.
수익률을 높이려는 사모펀드의 특성상 지나치게 배당을 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2006년 HK저축은행을 인수한 MBK는 지난해 낸 순이익 90억 원 가운데 80억 원을 배당해 비판받았다. 윤 대표는 “ING생명의 건전성을 해칠 만한 수준으로 배당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간산업인 금융회사에 펀드가 주인인 경우 경영이 안정되기 힘들고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이 실시될 가능성이 높은 점도 쟁점 가운데 하나다. MBK파트너스 측은 ING생명을 장기 보유하고, 인력 구조조정도 실시할 계획이 없다고 강조한다.
ING생명 노조는 MBK 측을 믿을 수 없다는 반응이다. 김권석 ING생명 노동조합 사무국장은 “회사로부터 내년에 희망퇴직자를 받을 수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며 “회사가 불안정한 상황에서 희망퇴직은 구조조정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그는 “ING생명 본사에서 5년간 ING생명 브랜드 사용권을 준 점을 생각하면 MBK는 5년 후 회사를 매각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 “파인스트리트 인수 시 총파업” vs “우투증권 매각 안 한다”
우리투자증권 인수전에서는 파인스트리트가 가능성이 높은 후보로 떠오르고 있다. 이 사모펀드는 1조4000억 원을 인수금액으로 써 낸 것으로 알려졌다. KB금융지주와 NH농협금융지주는 각각 1조1000억 원가량을 인수 가격으로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파인스트리트는 리먼브러더스 부회장을 지낸 조건호 씨와 삼정KPMG 회장이었던 윤영각 씨가 공동대표를 맡아 지난해 설립했다. 이재진 우리투자증권 노조위원장은 “사모펀드가 인수하면 회사의 성장보다는 투자금 회수에만 주력할 것”이라며 “파인스트리트에 인수될 경우 총파업도 불사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명전 파인스트리트 부회장은 “파인스트리트는 사모펀드가 아닌 대체투자전문금융그룹으로, 우투증권을 매각하지 않고 글로벌 투자은행(IB)으로 키울 것”이라며 “인력 구조조정도 하지 않고 오히려 인력을 더 뽑겠다”고 강조했다. 또 외국계 자금은 인수금액의 40% 이하로 유치하고 나머지는 국내 자금으로 조달하겠다는 방침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