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김준식 포스코 성장투자사업부문장(사장)과 권영수 LG화학 전지사업본부장(사장)은 14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포스코센터 인근 식당에서 오찬을 겸한 ‘톱 매니지먼트 미팅(TMM)’을 갖고 이같이 합의했다.
이에 따라 두 회사는 조만간 2차전지에 들어가는 양극재와 음극재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에 돌입할 예정이다. 또 LG화학이 개발한 전력저장장치(ESS)용 2차전지에 대한 성능 평가를 포스코 포항제철소가 실시하기로 했다.
○ 급성장하는 소재 시장 선점이 목표
포스코와 LG화학이 음극재와 양극재 등 핵심 소재를 공동 개발키로 한 것은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2차전지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다.
세계 2차전지 시장 규모는 지난해 18조5000억 원에서 2015년 27조5000억 원, 2020년 64조 원으로 급격히 커질 것으로 관련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현재는 스마트폰, 노트북 등 정보기술(IT) 기기에 쓰이는 소형 2차전지가 전체 시장의 70% 이상(금액 기준)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는 전기자동차나 ESS용 중대형 2차전지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포스코가 소재 사업을 본격화하면서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2차전지 소재들을 국산화한다는 의미도 있다.
삼성SDI, LG화학 등 국내 기업들은 올해 상반기(1∼6월) 세계 소형 2차전지 시장의 45%를 차지했다. 그러나 핵심 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는 원천기술을 확보하지 못해 대부분 일본이나 유럽에서 수입했다.
LG화학 관계자는 “두 회사가 공동 개발한 신소재를 활용하면 배터리 성능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며 “또 2차전지 소재를 수입에 의존하지 않고 포스코에서 안정적으로 공급받으면 글로벌 시장 변화에 보다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포스코와 LG화학의 협업 자체에 대한 관심도 크다. 국내 굴지의 대기업들이 특정 기술을 공동 개발한 사례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가 2009년 국책과제를 함께 수행해 현대차 그랜저의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에 쓸 칩을 공동 개발했지만 실제 양산 차량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포스코 관계자는 “현 시점에서는 소재 공급 및 차세대 기술 개발을 중심으로 두 회사가 협력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합작투자 등의 전략적 제휴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말했다.
○ ‘소재보국(素材報國)’의 꿈
1973년 첫 쇳물 생산 이후 ‘제철보국(製鐵報國·양질의 철강재를 생산해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것)’의 꿈을 현실화한 포스코는 2010년 2월 성장투자사업 부문을 신설한 뒤 소재보국을 제2의 목표로 내세웠다. 올해 3월 성장투자사업 부문 내 소재사업실이 비철금속사업실과 신소재사업실로 나뉜 것도 이런 맥락이다. 포스코는 신소재사업실을 중심으로 LG화학은 물론이고 양극재 및 음극재, 희토류 영구자석 등 소재 분야 원천기술을 가진 중소기업들과도 제휴를 추진하고 있다.
김지용 포스코 신소재사업실장(상무)은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등 국내 굴지의 제조업체들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한 것은 포스코의 안정적 철강 공급이 뒷받침됐기 때문에 가능했다”며 “포스코는 2020년까지 소재보국을 완성한다는 목표로, 필요하면 국내외 기업의 인수합병(M&A)에도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코는 이미 2010년 8월 LS엠트론의 2차전지 음극재사업부(구 카보닉스)를 인수해 계열사인 포스코엠텍에 편입시켰다. 지난해 3월에는 보광그룹 계열사인 휘닉스소재와 지분 50%씩을 투자해 양극재 전문업체인 포스코ESM을 설립했다.
김 실장은 “차세대 소재 사업은 미래에 가장 각광받는 분야여서 하루 빨리 원천기술을 확보해야 한다”며 “포스코는 북미, 유럽, 아시아 등 해외 각지에서 운영하고 있는 29개 철강 가공센터를 소재 판매 전진기지로 삼아 글로벌 소재 기업으로 발돋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