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 개혁 개방을 선언한 중국의 목표는 외자 유치였다. 돈이 없어서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기술 이전이 절실했기 때문이다. 이후 30여 년, 중국은 자국 기업의 덩치를 키우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중국 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한국 기업들을 맹추격하게 된 것도 이 같은 정책 전환과 관련이 있다.
중국은 지난해 1월 정보기술(IT)을 비롯해 자동차 조선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희토류 제약 농업 등 9개 산업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했다. 주목할 점은 2015년까지 각 산업을 10개 안팎의 대기업 위주로 재편하겠다는 것이다.
중국의 휴대전화 생산량은 전 세계의 70.6%(2011년 기준)를 차지한다. 하지만 중국의 IT 100대 기업의 연간 순익 합계는 미국 애플보다 적다. 이 때문에 수직 계열화를 통해 매출 5000억 위안(약 87조 원) 이상의 국가대표급 기업을 육성하기로 했다. 하청업 위주의 산업구조를 고도화하기 위해 기업 규모를 키우겠다는 것이다. 이 같은 구상은 가장 종합적인 대기업 육성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2012년에 1년간 한시적으로 실시된 가전 보조금 정책도 같은 맥락이다. 내수 부양과 절전형 가전제품 보급을 위해 도입된 제도로 냉장고는 연 50만 대 이상, TV는 70만 대 이상을 팔았다는 증빙서류를 제시한 기업에만 보조금을 지급했다. 자연스레 정부 지원은 대기업에 집중됐다.
과거 대만이나 서방에 의존했던 인적자원 수급도 점차 정부 주도의 자체 양성 시스템으로 바뀌고 있다. 중국 정부는 1990년부터 각 방면의 전문가그룹에 특별수당을 지급하고 있다. 2010년 5월까지 15만8000명이 수급 대상자로 선정됐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