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엔터테인먼트 종목들이 떨고 있습니다. 얼마 전 CJ E&M이 실적 발표 이전에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에게 미리 알려줬다며 검찰에 고발된 데 이어 NHN엔터테인먼트도 실적 사전 유출로 금융감독 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증권사에서는 애널리스트 한 명이 이 업종을 맡고 있습니다. 정보기술(IT), 자동차 등 규모가 큰 산업을 여러 애널리스트가 담당하는 것과는 대조됩니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이들 외의 다른 기업들도 몇 안 되는 애널리스트를 이런 식으로 ‘관리’하는 것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섞인 눈초리를 보내고 있습니다.
금융투자 업계에서는 엔터테인먼트 종목들이 잇달아 실적 사전 유출이라는 ‘추문’에 휩싸인 데는 이유가 있다고 봅니다. 제조업체들과 달리 ‘수익 구조를 예측하기 힘든 업체 특성 때문’이라는 겁니다.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제조업체는 판매 실적이 비교적 투명하게 노출됩니다. 따라서 펀드매니저나 애널리스트들은 발표 이전에라도 비교적 구체적으로 기업의 실적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업체들도 마찬가집니다. 제조업체보다는 ‘고난도’이지만 서비스 이용자 통계 등 각종 데이터를 참고하면 어느 정도까지는 실적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한 엔터테인먼트 담당 애널리스트는 “연예기획사는 소속 연예인의 섭외료나 광고단가 등을 대외비로 하는 경우가 많고, 게임업체는 접속률 등의 통계가 있지만 무료 이용자 비중이 매우 높아 이 통계가 실적과 그대로 연결된다고 보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때문에 엔터테인먼트 애널리스트가 사전에 기업의 실적을 파악하는 건 ‘유능하다’고 평가받을 수 있는 지름길이 되는 구조라는 겁니다.
애널리스트가 알게 되면 펀드매니저에게 정보가 건너가는 건 시간문제입니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금융투자 시장에서 펀드매니저들은 갑, 애널리스트들은 을이기 때문에 매니저들이 마음만 먹으면 실적 정보를 미리 받아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기관과 개인 간 ‘정보의 불균형’이 관행화되는 건 ‘비정상’입니다. 이런 비정상을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내부 정보’의 기준을 명확히 정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애널리스트 출신의 한 증권맨은 “애널리스트로 일하다 보면 기업 투자설명회(IR) 담당자와 수많은 정보를 주고받는데 어디까지가 내부 정보에 해당하는지 모호한 경우가 많다”며 “감독 당국에서 기준선을 분명히 제시하고, 기준을 넘어설 경우 철저히 단속하면 이런 사건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