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자율합의를 우선적으로 추진하겠다.”
안충영 동반성장위원장(사진)은 16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 렉싱턴호텔에서 열린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자율합의를 통해 시장의 규모를 키우는 것을 적극 장려하되 자율합의가 안 되는 경우에만 적합업종을 지정하겠다는 것이다.
안 위원장은 “그동안 중기 적합업종 논의가 ‘대기업은 양보하고 중소기업은 보호한다’는 이분법적 논리에 갇혀 있었다”며 “중기 적합업종 제도의 발전적인 개편이 필요하다”고도 말했다. 그는 “개입(중기 적합업종 지정)을 통해 울타리를 치는 것보다 당사자 간 합의를 통해 해결하는 게 경제적으로 최선”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앞으로 동반성장위의 역할에 대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서로 윈윈할 수 있는 경영 풍토가 뿌리내릴 수 있도록 돕는 촉매 역할에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으로 당사자 간 자율합의가 원활히 이뤄지도록 논의의 장을 마련하는 한편 업종별 현황, 해외 사례 등 관련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겠다는 의미다.
이날 동반성장위는 대기업 협력사들을 대상으로 벌이는 동반성장지수 체감도 방식을 개편한다고 밝혔다. 현행 제조업, 도소매업, 식품업, 정보서비스업, 건설업 등 5개 업종으로 구분된 설문문항을 8개 업종으로 세분하는 한편 2, 3차 협력사들의 체감도 조사 반영비율을 현행 10%에서 15%로 높이기로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