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0년간 국민총소득(GNI)에서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급등한 반면 가계 비중은 쪼그라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국민계정(1953∼1999년) 개편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명목 GNI는 1975년 10조4000억 원에서 2013년 1441조1000억 원으로 불어났다. 1인당 GNI도 같은 기간 610달러에서 2만6205달러가 됐다.
경제주체별로 보면 GNI에서 가계가 차지하는 비중은 1975년 79.2%였지만 2013년에는 61.2%로 줄었다. 반면 기업의 비중은 이 기간 9.3%에서 25.7%로 3배 가까이로 급등했다. 이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가계소득이 정체되면서 기업소득의 증가율을 따라잡지 못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민계정은 가계 기업 정부 등 나라 경제를 구성하는 주체의 경제활동과 자산, 부채 상황을 정리하기 위해 만든 회계기준이다. 이를 통해 지난 수십 년에 걸친 한국 경제의 흐름을 되짚어볼 수 있다.
이날 발표된 새 기준에 따르면 1954∼2013년 중 한국의 연평균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7.4%로 집계됐다.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1970년대(1970∼1979년)에 10.4%나 됐지만 1980년대(8.7%)와 1990년대(7.0%)를 거치며 조금씩 낮아지다 2000∼2009년에는 4.6%로 급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