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속의 이 한줄]메모지나 사진에 맡겨둔 ‘소외된 기억’ 되찾으려면…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1월 13일 03시 00분


코멘트
《 “종이에 맡겨 놓은 기억은 소외된 기억이다. 내가 기억하고자 하는 것을 적어 놓음으로써 ‘나는 그 정보를 소유하고 있다’고 확신하기 때문에 머리에 새겨 놓으려고 하지 않는다.” ―소유냐 존재냐(에리히 프롬·범우사·1999년) 》

미국 시카고에 12주 동안 머문 적이 있다. 시가지에서 다소 떨어진 한적한 주택가에 방 한 칸을 얻었다. 아침잠을 깨우는 새, 나무 위의 청솔모, 차고 세일(garage sale)…. 아파트촌에 살던 이방인에겐 매일이 생활의 발견이었다. 이를 놓칠까 부지런히 셔터를 눌렀다. 그렇게 1000장에 가까운 사진은 현재 이동식저장장치(USB) ‘사진함’에 고스란히 있다. 열어보지도 않았다. 기억은 마음에 담는 것이지 사진에 묶이는 것이 아니었다.

사회심리학자인 저자는 삶의 방식을 존재지향과 소유지향으로 나눈다. 저자는 기억하는 방식도 지향에 따라 달라진다고 말한다. 기억을 소유해야 할 것으로 여길 경우 오히려 단편적인 기억만 남는다. 사진을 보면 바로 “그래, 그 사람”, “그곳에 갔었지” 하고 떠올릴 수 있다. 하지만 그것으로 끝나기 쉽다. 반면 그 사람 또는 그 풍경이 눈앞에 펼쳐지듯 되살리려면 이전에 충분히 집중력을 기울여 봐뒀다가 마음에 완전히 그려내야 한다.

저자는 일상에서 기억을 소유하려다가 빚는 어리석은 행동들을 꼬집는다. 노트에 기록해 기억을 저장하려는 것도 마찬가지다. 노트에 적어 놓으면 그 정보를 소유하고 있다고 확신하게 된다. 정보의 홍수 시대에 어느 정도 기록하는 것은 불가피하다. 하지만 적어 놓는 행위가 오히려 우리의 기억 능력을 떨어뜨린다는 점은 일정 부분 사실이다. 실제로 휴대전화에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게 되면서 떠올릴 수 있는 번호가 사라졌다. 미국의 평론가이자 작가인 수전 손태그도 중국으로 여행을 떠나기 전 쓴 ‘중국 여행 프로젝트’라는 글에서 타자기도, 카메라도, 녹음기도 가지고 가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소유하지 않고, 또 소유하려고 갈망하지 않을 때 진정 즐거워하고 재능을 생산적으로 쓸 수 있다는 저자의 지적을 올해는 실천할 수 있을까.

홍수영 기자 gaea@donga.com
#메모지#사진#소외된 기억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