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도 걱정 못따도 걱정” 최강 롯데의 딜레마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4월 17일 03시 00분


[10조 시장 면세점을 잡아라]<4> 롯데면세점

롯데면세점은 유력한 신규 서울 시내 면세점 부지로 롯데몰 김포공항점과 동대문 롯데 피트인을 보고 있다. 외국인 관광객이 오기 좋은
 위치와 주변 쇼핑시설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가로수길과 이태원, 홍익대 일대 등의 새 건물을 찾는 작업도 진행하고
 있다. 롯데자산개발 제공
롯데면세점은 유력한 신규 서울 시내 면세점 부지로 롯데몰 김포공항점과 동대문 롯데 피트인을 보고 있다. 외국인 관광객이 오기 좋은 위치와 주변 쇼핑시설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가로수길과 이태원, 홍익대 일대 등의 새 건물을 찾는 작업도 진행하고 있다. 롯데자산개발 제공

‘국내 1위’ 롯데면세점의 속내는 복잡하다.

경쟁사들이 6월로 예정된 서울 시내 신규 면세점 사업권 입찰을 위해 칼을 빼낼 때마다 롯데의 ‘수성(守城) 시나리오’도 한층 복잡해지고 있다. 올해 35주년을 맞는 롯데면세점은 현재 서울 시내 면세점 6곳 가운데 3곳을 보유하고 있는 면세점 시장의 맹주다.

당초 롯데면세점은 올해 12월 특허권이 만료되는 서울 소공점과 잠실점 두 곳을 지키는 데 ‘올인’하기로 했다. 하지만 신세계, 현대백화점, 한화, SK 등 저력 있는 대기업 유통계열사들이 차례차례 면세점 시장 진출을 선언하자 걱정이 생겼다.

○ 복잡해진 롯데의 셈법

‘오너의 지원 속에 대기업들이 칼을 뽑았는데 이번 입찰에 실패한다고 칼을 칼집에 다시 넣을까. 결국 그들의 칼끝이 12월, 우리에게 향하지 않을까.’

결국 롯데는 신규 시내 면세점에 도전하기로 입장을 바꿨다. 롯데면세점 관계자는 “올 초 제주점 특허권을 연장하려 할 때, 호텔신라와 부영이 뛰어들어 굉장히 어렵게 수성했다”며 “12월 만료되는 특허권도 연장되리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모든 기회에 도전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물론 우선순위는 서울 소공점과 잠실점의 수성이다. 지난해 약 1조9000억 원의 매출을 올린 소공점은 롯데면세점 전체 매출(3조9500억 원)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알짜 매장이다. 잠실점은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의 꿈이 담긴 제2롯데월드 개발계획의 핵심을 차지하고 있다. 롯데 안팎에서 신규 시내 면세점을 따내도 걱정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2013년 관세법이 개정되기 전까지는 ‘재승인’ 형식으로 기존 업체들이 면세 사업 특허권 기간을 연장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5년마다 공개입찰에 응해야 한다. 롯데면세점 관계자는 “기업의 생존권이 달린 문제”라며 “한진 등 대기업이 특허를 반납할 정도로 어려운 시기에도 잘 견뎌왔는데 그동안 특혜를 받아온 것으로 오해를 받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 35년 노하우 바탕 경영 능력 자신감

롯데는 서울 시내 면세점 심사기준에 자사가 가장 부합하다고 자부한다. 현재 신규 부지로 동대문 롯데 피트인과 롯데몰 김포공항점을 유력하게 보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가로수길과 이태원, 홍익대 일대도 검토하고 있다.

롯데면세점 관계자는 “한류 마케팅을 활성화해온 롯데면세점은 지난해 배우 이민호, 김수현을 앞세운 콘서트를 열어 해외 관광객 2만 명을 유치했다. 앉아서 기다리기보다 관광과 엔터테인먼트를 결합해 고객을 끌어 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35년 노하우를 바탕으로 한 경영 능력에서도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롯데면세점은 국내에 처음으로 루이뷔통(1984년) 에르메스(1985년) 샤넬(1986년) 등 3대 명품을 들여온 주인공이다. 신규 면세점 성공의 필수 요건인 해외 인기 브랜드 유치에 자신 있다는 얘기다.

중소기업과의 상생 점수도 기대하고 있다. 올해 6월 새로 문을 열 롯데면세점 제주점은 총 면적의 30%가량인 약 1920m²(약 580평)를 중소기업 브랜드로 채울 예정이다. 브랜드 유치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을 위해 롯데가 대신 유치해주는 지원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롯데면세점은 “설립 35주년을 맞은 올해에 DFS, 듀프리에 이어 세계 3대 면세점으로 도약할 것으로 보인다”며 “입찰에 성실히 임해 국내 사업을 안정시키며 해외 사업에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현수 기자 kimh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