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의 발’로 불리는 현대자동차 1t 트럭 ‘포터’가 올해 1~4월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린 차종에 올랐습니다.
5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포터는 1~4월 총 3만4305대 팔려 현대차 ‘쏘나타’(3만1215대·2위), 기아자동차 ‘모닝’(2만8661대·3위)를 제치고 판매량 1위에 올랐습니다. 포터의 올해 월 평균 판매량은 8576대. 지금의 추세대로라면 연말 상용차 처음으로 판매량이 10만 대를 넘고, 처음으로 국내 판매량 1위 차종에 오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옵니다.
포터의 연간 월 평균 판매량은 2012년 7275대, 2013년 7669대, 지난해 7974대로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포터는 자영업자들이 푸드 트럭이나 택배, 농작물와 이삿짐 운반 등 용도로 사용합니다. 그래서 경기가 좋으면 자영업이 활발해지면서, 경기가 나쁘면 퇴직자들이 창업 전선에 나서면서 포터가 잘 팔린다고 해석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자동차업계에선 포터의 판매량을 좌우하는 것은 경기가 아니라 생산량이라고 분석합니다. 포터는 항상 주문 뒤 2, 3개월은 기다려야 할 정도로 공급보다 수요가 많은 차종입니다. 현대차 관계자는 “최근 포터 판매량이 늘어난 것은 울산공장에서 내수에 할당하는 물량을 늘렸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수요가 넘치다보니 중고차 시장에서도 가격이 크게 떨어지지 않습니다. 포터 신차 가격은 1430만~1940만 원입니다. 1, 2년 된 중고차 포터는 신차보다 약 100만 원, 5년 된 중고차도 가격이 500만 원정도 내리는 데 그칩니다. 중고차업계 관계자는 “신차가 나오길 기다리지 못할 정도로 급한 사람들이 중고차 시장에 유입되기 때문”이라며 “범퍼에 스크래치가 났다 해도 10만 원이라도 깎아주면 ‘감사합니다’하고 사지 않으면 바로 다음 타자에 넘어갈 정도로 포터는 물량이 부족하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포터는 2004년 풀체인지(완전 변경)된 모델입니다. 내년 9월 유럽의 배기가스 규제 기준인 ‘유로6’가 도입된 새 모델이 나오면 가격은 오를 수밖에 없습니다. 그럼에도 자영업 수요가 있는 한 포터의 인기는 꾸준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