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와 환율 등을 감안한 실제 소비능력을 뜻하는 구매력평가(PPP) 기준으로 지난해 한국 근로자의 평균 임금이 일본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금을 낸 뒤의 소득은 미국, 일본보다 많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6위 수준이었다.
6일 OECD의 ‘2015년 임금과세(Taxing Wages)’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구매력평가 기준을 적용한 1인 가구 기준 한국 근로자의 평균임금은 4만6664달러(약 5040만 원)로 OECD 34개국 중 14번째로 많았다. 이는 일본(4만6884달러·13위)과 비슷한 수준이며 북유럽의 선진국인 스웨덴(4만6379만 원·15위)보다 많은 것이다.
스위스가 6만6506달러로 구매력 기준 임금이 가장 높았고 룩셈부르크(6만 158달러), 노르웨이(5만9355달러), 네덜란드(5만9280달러), 독일(5만7628달러)이 뒤를 이었다. OECD 평균은 4만 770달러였다.
세금을 낸 후의 한국 근로자 순소득(구매력평가 기준)은 4만421달러로 OECD 국가 중 6위였다. 스위스(5만4944달러)가 역시 1위였으며 미국(3만7837달러·8위), 일본(3만6691달러·9위)은 한국보다 낮았다. 하지만 한국은 세금과 사회보장비를 더한 실질세 부담률(tax wedge) 증가율이 최근 10년 간 OECD 국가 중 멕시코에 이어 2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