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웅섭 금융감독원장(사진)은 23일 “빨간딱지와 줄 세우기 방식의 민원실태평가제도를 선진 방식의 금융소비자보호실태평가제도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금융감독원이 민원실태 결과를 공개해 등급이 낮은 금융사를 망신주는 현 평가제도가 가혹하다는 금융사들의 의견을 받아들인 것이다.
진 원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금융사 경영 관여 자제, 종합검사 폐지 등을 포함한 금융감독 쇄신 및 운영 방향을 마련해 실천 중”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그는 “금융회사를 검사할 때는 처벌보다는 리스크 대응과 법규 준수 실태를 점검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올해 하반기에 예정된 7건의 종합검사 역시 권역별 부실·리스크 요인을 점검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방침이다.
최근 2조 원대 손실이 뒤늦게 드러난 대우조선해양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부실을 인지하지 못한 대주주인 산은과 채권단, 금융당국의 책임에 대한 질문에 진 원장은 “당장 언급하는 게 적절치 않다”고 즉답을 피했다가 뒤늦게 자료를 통해 “채권단의 실사가 끝나는 대로 금융위 등과 협의를 거쳐 산은에 대한 검사 여부 등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대우조선의 회계감리 계획에 대해서도 “상반기 결산이 진행 중이고, 회계부정 행위에 대한 신빙성 있는 제보도 없어 당장 회계감리에 착수하기는 어렵다”며 “상반기 실적이 공시되고 실적이 나오면 회계감리 실시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