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돈이란 큰 돈도 작은 돈도 드러나지 않게 쓰는 것이 원칙이다. 예를 들어 음식점에서 팁을 줄 때도 다른 사람 모르게 주는 것이 예의지, 기생 이마에 돈을 붙여주는 따위의 행동은 한 인간이 한 인간을 멸시하는 작태이다. ―‘시련은 있어도 실패는 없다’(정주영·제삼기획·1991년) 》
이른바 ‘땅콩 회항’ 사건 이후 한동안 잠잠했던 기업 총수들에 대한 관심이 최근 들어 다시 높아지고 있다. 롯데그룹 ‘형제의 난’은 한 달 가까이 재계를 들썩이게 하고 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비롯해 기업인 14명이 사면을 받았다. 안하무인 재벌 3세 조태오(유아인)가 무대포 형사 서도철(황정민)에게 두들겨 맞는 영화 ‘베테랑’은 이날 관객 수 400만 명을 넘으며 흥행 신호탄을 올렸다.
이 시점에 우연히 고 정주영 전 현대그룹 명예회장의 자서전을 읽었다. 책이라기보다는 구전 신화에 가까운 느낌이었다. 평생 시골에서 썩는 삶이 지겨워 수백 리 길을 걸어 가출했다 잡혀 오는 내용은 기업 총수의 인생이라기보다 흑백 TV 소설 같았다.
정 전 명예회장은 마지막 가출 시도가 성공해 공사판 잡역부와 쌀 배달부로 서울 생활을 시작했다. 울산 현대중공업 본사에 있는 아산 기념 전시실에는 정 전 명예회장이 십수 년을 신었던 구두가 놓여 있다. 오래 신기 위해 밑창에 징이 박힌 구두다.
책을 읽고 남은 것은 장장한 고생담도, 현대그룹 창업주의 성공 신화도 아니었다. 할아버지가 된 정 전 명예회장이 손자 세대를 걱정하는 마지막 장이었다. ‘듣자 하니 며느리들이 손주들을 사립 초등학교에 보내고 개인 승용차를 태우고 다닌다는데, 아들들이었으면 어림도 없었겠지만 그와 또 달라서 뭐라 할 수가 없고 걱정이다’ 하는 내용이었다. 한 그룹의 정점에 오른 이였지만 일생 동안 사치와 부패를 경계한 것이다. 정 전 명예회장이 세상을 떠난 지 15년째다. 오늘날 한국 기업계에 고인이 평생 지켜온 그 경계심이 얼마나 남아 있는지 궁금하다.
댓글 4
추천 많은 댓글
2015-08-24 08:00:10
정주영은 영웅이다 대한민국을 건설한 의인들 중의 한 분이다 박 정 희 박 태 준 정 주 영 이들 영웅이 있어 대한민국의 오늘이 있다 영웅들을 영원히 기린다
2015-08-24 08:24:03
역시 한 시대를 풍미한 영원한 거인! 그가 또 한 거인 박정희를 만나 이루어 놓은 빛나는 업적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겐 그립고 또 그리운 신화이지! 그 빛나는 신화가 오늘날 엉뚱한 정치꾼 놈들 공적으로 둔갑하는 모습을 보면서 피눈물 흘리는 국민이 한 둘 아닙니다!!!
2015-08-24 15:12:01
아랫도리 비지니스도 드러나지 않게..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