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노동시장 개혁을 강하게 추진하고 있지만, 이번 설문조사 응답자의 절반가량은 청년실업 문제가 앞으로 더 나빠질 것이라고 답하는 등 비관적인 전망이 우세했다. 정부 정책과 기업의 청년 채용 의지에 대한 불신이 깊이 깔려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응답자 3000명 가운데 청년실업 문제가 개선될 것이라고 예상한 사람은 159명(5.3%)에 불과했다. 나머지(94.7%)는 더 나빠지거나 현재와 비슷할 거라고 내다봤다. 특히 이들 중 30.6%는 청년실업이 10년 이상 장기화될 거라고 예상했다. 정부가 청년실업 문제를 최우선 정책으로 두고 있지만 단기간에 해결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인 것이다.
청년 일자리 문제의 구체적 원인으로 불황, 고용 없는 성장 등 경제적 문제(26.5%)에 이어 ‘기업’(21.4%)을 꼽은 것도 특징이다. 기업이 채용을 축소하거나 경력직을 우선 채용하고, 비정규직을 선호하는 것 등이 청년실업의 큰 원인이라는 것이다. 반면 ‘노동조합’이라고 답한 비율은 4.3%에 불과했다. 과보호되고 있는 정규직 근로자들의 근로조건을 떨어뜨려야 청년 고용절벽을 해소할 수 있다는 정부의 주장과는 다른 인식을 갖고 있는 셈이다.
특히 청년실업 해법으로 야권과 노동계가 주장하고 있는 ‘청년고용 할당제도(청년 채용을 일정 비율 이상으로 법제화하는 것)’가 가장 필요한 정책이라고 답한 비율은 11.9%에 불과했다. 최저임금 인상, 비정규직 차별 금지 등 청년 친화적인 정책(32.1%)을 꼽은 비율이 가장 많았고, 스펙 등 불필요한 채용 관행 타파(24.7%)가 뒤를 이었다.
신용한 대통령직속 청년위원장은 “노인, 장애인 등은 사회보장 대상인데 청년은 법적으로 사회보장 대상이 아니다”라며 “노동개혁 논의에 청년 대표를 참여시키고, 청년을 사회보장 대상으로 광범위하게 포함시켜서 다양한 사회안전망 정책을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