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톡 경제]또 우간다보다 못한 금융경쟁력, 왜?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10월 1일 03시 00분


유재동·경제부
유재동·경제부
우리에겐 ‘다보스포럼’으로 더 잘 알려진 스위스의 비영리단체 세계경제포럼(WEF)이 올해도 어김없이 한국의 금융당국을 발칵 뒤집어놨습니다. 이 단체가 30일 발표한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한국의 ‘금융시장 성숙도’가 세계 87위로 작년(80위)보다도 7계단 하락했기 때문입니다. 순위 표만 놓고 보자면 한국 금융은 부탄(86위), 우간다(81위), 가나(76위)보다도 경쟁력이 낮았습니다.

어째서 이런 일이 생긴 걸까요. 오랜 관치금융과 은행권의 보신주의 등을 생각해보면 한국 금융이 아주 우수한 성적표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쯤은 짐작이 갑니다. 그래도 부탄이나 우간다보다 못하다는 건 조금 과하다 싶습니다.

여기엔 조사의 함정이 숨어 있습니다. WEF의 경쟁력 조사는 총점의 90%가량을 자국 기업인의 주관적 만족도로 평가합니다. 국내 중소기업 최고경영자(CEO)에게 “한국 금융의 점수를 매겨 달라”고 하는 식이죠. 요즘 아무리 달라지려 노력하고 있다지만 여전히 갑(甲)의 위치에 있는 금융회사들을 기업인들이 곱게 볼 리가 없습니다. 그러다 보니 ‘금융서비스 이용 가능성’(99위), ‘대출 용이성’(119위), ‘은행 건전성’(113위) 같은 세부 항목의 점수가 바닥을 헤맸습니다. 만약 “우간다와 비교했을 때 한국 금융의 경쟁력이 어떠냐”고 물었다면 순위가 많이 달라져 있었을 겁니다.

정부는 부글부글 끓고 있습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조사 결과를 보고받고 한숨을 크게 내쉬면서 즉시 ‘설명 자료’를 뿌리라고 지시했습니다.

금융위는 자료에서 “한국은 시가총액 수준, 은행 지점 수 등 여러 지표가 아프리카보다 월등히 양호하다”며 “WEF 조사는 국가별로 객관적인 비교를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그간 여러 차례 WEF 조사 결과를 인용하면서 우리 금융업을 질타해왔기 때문에 금융개혁에 매진하는 정부로서는 더 예민할 수밖에 없었을 겁니다.

하지만 정부가 반성할 부분도 적지 않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순위야 어떻든 간에 우리 기업인들의 금융업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다는 것은 자명하기 때문입니다. 또 성적이 좋았을 때는 정부의 치적이라 홍보해놓고 막상 순위가 떨어지면 이런저런 이유를 대며 조사의 공신력을 깎아내리는 것도 이중적 태도라는 비판을 받습니다.

유재동·경제부 jarrett@donga.com
#우간다#금융#경쟁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5

추천 많은 댓글

  • 2015-10-01 08:30:12

    국민은 초빠지게 일하는 데...그럼 뭐하냐? 윗데가리세기덜..막 해 먹고 ..막퍼주고 ...막써버리는 데...70년대 공무원은 기업체 들어가지 못한 떨어진 애덜이 박봉이라도 먹고 살라고 들어갔는데 ..그넘들이 ..윗대가리가 되니..개판이지..나랏돈은 눈먼돈...!!!

  • 2015-10-01 09:41:17

    출산율을 빨리 늘려야 합니다. 한국이 일본을 추월 할아면, 통일 한국의 인구가 9천만명 되야 됩니다. 출산율을 긴급하게 늘려야 됩니다. 출산율이 낮으면, 노인인구 만 늘어납니다. 이 메세지 모든 한국인들 한테 전파 해주세요! KOREA MUST CHANGE NOW!

  • 2015-10-01 09:39:50

    저는 한국 대해서 많이 걱정 하고 있는 교포 입니다. 낮은 출산율 문제는 빨리 고쳐야지 아니면 일본 처럼 인구 통계 학적으로 망한나라 됩니다. 한국 산업, K-Pop도 망하고 경제도 줄어듭니다. 출산율을 빨리 늘려야 합니다.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