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남양주시 다산신도시 공사 현장에서 중장비를 동원한 터 파기 공사가 한창이다. 2018년 6월까지 474만 ㎡의 땅에 약 3만2000채의 주택이 들어설 예정이다. 경기도시공사 제공
“분양가는 3.3m²에 얼마죠? 입주 시기는요?”
지난달 24일 경기 남양주시 다산신도시의 한 신규 분양 아파트 본보기집. 분양 관계자들은 본보기집 정식 개관일(10월 중순)이 3주 이상 남았는데도 문의 전화를 받고 안내하느라 분주했다. 이 아파트 분양소장은 “서울 강서구나 일산신도시(경기 고양시) 등 서울과 수도권 전 지역에서 분양 문의가 온다”며 “전세금이 더 오르기 전에 내 집을 장만하려는 실수요자가 많다”고 귀띔했다.
10월에 신규 아파트 2200여 채가 분양되는 다산신도시가 수도권 전세난의 탈출구로 주목받고 있다.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된 합리적인 분양가, 서울과 가까운 지리적 요건, 수도권의 ‘마지막 신도시’라는 강점이 부각되면서 하반기 부동산시장의 최대 관심지역으로 떠올랐다. ○ 싸고 가까운 수도권의 마지막 신도시
다산신도시는 경기도시공사가 남양주시 진건읍과 지금동 일대 474만 m² 땅에 조성하는 3만1892채 규모의 신도시다. 10월 중 2200여 채의 아파트가 분양된다. 2일 현대산업개발이 짓는 ‘다산신도시 아이파크’ 본보기집 개관을 시작으로 ㈜한양의 ‘다산신도시 한양수자인’과 반도건설의 ‘다산신도시 반도유보라 메이플타운’이 잇달아 분양에 나선다. 앞서 4월과 9월에 분양된 3개 단지는 모두 2.5 대 1 이상의 청약 경쟁률로 1순위에서 마감됐다.
지난해 택지개발촉진법이 폐지되면서 2017년까지 공공택지 조성이 중단돼 다산신도시를 마지막으로 신도시에서의 대규모 아파트 공급이 한동안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는 공공택지지구라는 점도 투자자의 관심을 끈다. 3.3m²당 분양가는 1100만 원 정도로 30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9월 서울 주택의 평균 전세금(1127만 원)보다 싸다. 박상언 유엔알컨설팅 대표는 “근처의 미사강변도시(경기 하남시) 새 아파트가 3.3m²당 1350만 원대에 분양되는 데 비해 분양가가 저렴한 편”이라고 말했다.
서울과 가까운 지리적 이점도 있다. 오전 10시 30분경 서울 종로구 광화문을 출발한 버스는 40여 분 만에 경기 남양주시에 들어섰다. 도심 정체로 종로구를 벗어나는 데 20분 이상이 걸렸지만 강변역(서울 광진구) 근처에서 다산신도시까지 가는 데는 15분이면 충분했다. 이 신도시를 둘러싼 촘촘한 도로망 덕분이었다. 지금지구 남단의 수석나들목(IC)을 이용하면 강변북로에서 다산신도시로 바로 진입할 수 있다. 북부간선도로가 도시 중심부를 통과하고, 수석∼호평도시고속도로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가 각각 지금지구와 진건지구에 인접해 서울 도심과 강남권까지 가는 데 40분이 채 걸리지 않는다. 신도시의 입주가 끝나면 출퇴근 시간에 도로 정체가 우려되지만 북부간선도로 등 주변 4개 도로가 확장될 예정이어서 교통난을 덜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 “기반시설 조기 완공 여부가 성패 가를 것”
녹지 공간도 신경을 쓴 모습이다. 한강과 홍릉천, 왕숙천이 도시의 3면을 감싸고 있고 도시 곳곳에 문화공원, 수변공원 등 6개의 테마공원이 생긴다. 문재산 기슭의 인공폭포 등 다산 정약용의 작품 속 풍경을 형상화한 ‘다산8경(景)’ 공원도 들어선다. 고필용 경기도시공사 다산신도시 사업단장은 “광교신도시(경기 수원시)의 호수공원에 버금가는 ‘랜드마크’ 공원을 다산신도시에서도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유치원과 초등학교가 각각 4곳, 중고교가 각각 2곳이 새로 생긴다. 일부 단지에서는 초중고교를 모두 걸어서 통학할 수 있다. 남양주시 명문고로 꼽히는 도농동 동화고등학교도 가깝다.
다만 아파트 입주 때까지 대중교통시설과 상업시설이 완공되지 않는다는 점이 수요자들을 주저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남양주시와 서울 송파구 잠실동을 잇는 지하철 8호선 연장선이 2018년 초 아파트가 첫 입주한 뒤 4년여가 지난 2021년 말 진건지구 중심상업지구에 들어선다. 위례신도시 등 다른 수도권 2기 신도시처럼 상가 분양이 주택단지 분양보다 늦어, 2018년 말 첫 상가가 완공되는 것도 약점이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리서치실장은 “주변에 기업이나 관공서가 부족해 상권 형성에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기반시설의 조기 완공 여부가 다산신도시의 성패를 가를 것”이라고 분석했다.
댓글 6
추천 많은 댓글
2015-10-01 18:29:26
서울과 가까운 강남까지 40분이라! 서울을 말함은 서울 시청을 기준하여 말해왔다.야바위 빤빤한 기름칠 언사도 유분수이지, 이건 완전 뻥치기 과대 과장 광고기사이다. 동아일보야, 정신줄 찾아라!
2015-10-01 20:18:36
출산율을 빨리 늘려야 합니다. 한국이 일본을 추월 할아면, 통일 한국의 인구가 9천만명 되야 됩니다. 출산율을 긴급하게 늘려야 됩니다. 출산율이 낮으면, 노인인구 만 늘어납니다. 이 메세지 모든 한국인들 한테 전파 해주세요! KOREA MUST CHANGE NOW!
2015-10-01 20:15:10
저는 한국 대해서 많이 걱정 하고 있는 교포 입니다. 낮은 출산율 문제는 빨리 고쳐야지 아니면 일본 처럼 인구 통계 학적으로 망한나라 됩니다. 한국 산업, K-Pop도 망하고 경제도 줄어듭니다. 출산율을 빨리 늘려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