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4시간 일해도 정규직… 원하면 ‘풀타임’ 전환 가능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10월 19일 03시 00분


[2015 리스타트]<6>日 기업 절반이 ‘단시간 근무 정사원’ 도입

두 아이를 둔 세쿠라 가오루 씨는 한때 육아 걱정으로 회사를 그만둘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회사가 새로 도입한 단시간 정규직 제도를 활용해 하루 6시간만 일하며 육아와 회사 일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었다.
두 아이를 둔 세쿠라 가오루 씨는 한때 육아 걱정으로 회사를 그만둘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회사가 새로 도입한 단시간 정규직 제도를 활용해 하루 6시간만 일하며 육아와 회사 일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었다.
일본 의류업체 크로스 컴퍼니 인사부에서 일하는 세쿠라 가오루(瀨倉薰·33) 씨. 그는 2010년 10월 출산을 하면서 7년 동안 일하던 회사를 그만둘지를 심각하게 고려했다. 사이타마(埼玉) 현의 집에서 도쿄(東京) 사무실까지 1시간 반이나 걸리다 보니 아이를 보육원에 맡기고 출퇴근할 자신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육아휴직 중 반가운 소식을 들었다. 회사가 정규직 신분을 유지한 채 4시간이나 6시간만 일할 수 있는 ‘단시간 정사원 제도’를 2011년부터 도입했다는 것. 그는 둘째를 낳은 지금도 하루 6시간씩 일하며 회사를 계속 다니고 있다. 16일 도쿄의 사무실에서 본보 기자와 만난 세쿠라 씨는 “오후 4시에 일을 끝내고 퇴근하면서 보육원에서 아이들을 데려온다. 그러면 가족이 함께 저녁을 먹고 가사 및 육아를 할 수 있다”며 환하게 웃었다.

일본 도쿄에 위치한 시세이도 본사가 2003년 설립한 사내 보육시설 ‘캥거룸’. 앞주머니에 새끼를 품고 다니며 젖을 먹이는 캥거루(kangaroo)와 방(room)을 합쳐 만든 조어로 육아에 대한 관심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도쿄=장원재 특파원 peacechaos@donga.com
일본 도쿄에 위치한 시세이도 본사가 2003년 설립한 사내 보육시설 ‘캥거룸’. 앞주머니에 새끼를 품고 다니며 젖을 먹이는 캥거루(kangaroo)와 방(room)을 합쳐 만든 조어로 육아에 대한 관심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도쿄=장원재 특파원 peacechaos@donga.com
○ 단시간 근무 도입

현재 크로스 컴퍼니 정규직 사원 3000여 명 가운데 4시간이나 6시간만 일하는 단시간 근로자는 약 450명. 15%가 ‘짧은 근무시간’을 택했지만 업무 차질은 거의 없다. 이들 중에는 육아 간호 등의 이유로 일시적으로 근무시간을 단축한 이들도 있고, 아예 ‘이만큼만 일하겠다’며 영구적으로 단시간 근무를 선택한 이들도 있다.

자녀가 어릴 때는 4시간만 일하다 점차 근무시간을 늘리는 이들도 상당수에 이른다. 단축 근무한 만큼 급여는 줄어들지만 복리후생 면에서는 단시간이든 풀타임이든 차이가 없다. 또 단시간에서 풀타임으로의 전환 혹은 그 반대로의 전환도 자유로운 편이다.

간다 미쓰노리(神田充敎) 인사본부장은 단시간 정규직 도입 이유에 대해 “결혼 육아 등을 이유로 단시간 근무를 원하는 사원들이 있었고, 매장을 확장하면서 일손이 부족하던 차에 이 제도를 통해 외부 인재를 확보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그는 “여성 직원 비율이 93%에 이른다”며 “그렇다 보니 단시간 근무의 필요성을 남들보다 먼저 절감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회사는 단시간 정규직 제도 도입과 동시에 전사적인 ‘업무 효율화’에 매달렸다. 일하는 시간이 줄어든 만큼 생산성을 높이자는 취지에서였다. 사무직에게는 해야 할 모든 업무를 적어내게 한 뒤 필요 없는 일을 지우게 했다. 회의실에는 알람시계를 놓고 당초 설정한 시간이 지나면 시끄럽게 울리게 했다. 관행적으로 하던 야근을 없애기 위해 오후 6시 반이면 사무실 전기를 끊었다.

매장에는 ‘쿼터 컷’이라는 목표를 세우고 사무 업무 시간을 매년 25%씩 줄이도록 했다. 간다 본부장은 “1시간에 하던 일을 45분에 하도록 초시계를 들고 일일이 매장을 돌아다녔다. 업무 효율성을 높였기 때문에 근무시간이 줄어도 고객 응대에는 지장이 없도록 했다”고 강조했다.

초반에는 다소 혼란도 있었지만 지금은 단시간 근무자들의 일정에 맞춰 사내 회의를 여는 등 제도가 정착 단계에 들어섰다. 간다 본부장은 “이직률이 낮아지면서 채용과 교육에 들어가는 비용을 절감하게 됐고 사원들의 회사에 대한 충성심도 높아졌다”며 “앞으로 하루 5시간 근무, 주 3일 근무 등 좀 더 다양한 근무방식을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 다양한 근무방식 확산

‘단시간 정규직 제도’의 확산은 연공서열 종신고용 잔업으로 대표되던 일본의 근로문화를 바꿔놓고 있다. 정규직 신분이어서 파트타임보다 안정적이면서 복리후생과 급여 산정방식은 풀타임 직원과 동일해 근로자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일본 기업 중 절반가량이 단시간 정규직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육아 간호 등을 이유로 정규직 직원이 일시적으로 근무시간을 줄일 수 있게 한 기업은 전체의 46.6%였다. 일본은 법적으로 만 3세 미만 자녀를 양육하는 노동자가 원할 경우 하루 근무시간을 6시간까지 단축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지속적으로 단시간만 일하는 정규직 사원 제도를 둔 곳도 13.5%에 이른다.

결과는 성공적이다. 제도를 도입한 기업 절반가량(49.3%)이 ‘종업원이 정착하게 됐다’고 밝혔다. ‘종업원의 만족도가 증가했다’(30.4%) ‘인재 확보에 도움이 됐다’(25%) ‘고령자 고용 유지에 도움이 됐다’(16.5%)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이 같은 효과 때문에 시간을 더 줄여 4시간만 일하는 정규직 사원을 두는 곳도 늘고 있다. 글로벌 의류업체 유니클로는 지난해부터 여성 인력을 활용하기 위해 정규직 직원들이 하루 4시간만 일하거나 주 3일만 출근하도록 하는 등 근무시간을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게 했다.

○ 공직사회에도 확산

일본 정부는 이런 경향을 공직사회에도 확산시키기 위해 내년 4월부터 ‘플렉스 타임제’를 도입할 방침이다. 한 달 단위로 근무시간을 정하고 이를 지키면 오전 7시∼오후 10시 중 원하는 시간에 출퇴근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육아나 간호 중인 공무원의 경우 하루에 4시간만 일할 수도 있고 ‘선택과 집중’을 통해 평일에 쉬는 날을 만들 수도 있다.

이 같은 정부와 기업의 노력 덕분에 결혼과 출산 후 직장을 그만두는 이들도 점차 줄고 있다. 일본의 경우 올해 조사에서 25∼34세 여성 중 일하는 비율이 75.1%로 10년 전보다 무려 7.5%포인트나 늘었다. 35∼44세 여성 중 일하는 비율도 73.1%로 최고치를 경신했다. 여성의 경력단절을 상징하는 ‘M자 커브’가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 “생산-효율성이 관건… 잔업 분위기 없애야” ▼

단시간 근무제 정착하려면


전문가들은 단시간 근무제 확산을 위해선 업종과 직무의 특성을 고려해 제도를 설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일본의 글로벌 화장품 회사 시세이도는 잡지 닛케이우먼이 선정한 ‘여성이 활약하는 회사’ 순위에서 2년 연속 1위를 차지할 정도로 대표적인 여성 친화기업이다. 1991년 단축 근무제를 도입했으며 자녀가 초등학교 3학년이 될 때까지 하루 근무시간을 2시간 단축 근무할 수 있게 했다.

그런데 이런 시세이도에서 지난해 언뜻 반대로 보이는 정책을 발표했다. 단축 근무 중인 매장 직원들에게 “야근과 주말 당번은 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는 회사 방침을 전달한 것. 대부분이 여성인 매장 직원 약 1만 명 중 1200여 명이 단축 근무를 하다 보니 저녁 시간에 매장을 찾는 고객을 응대하는 일에 차질이 생긴 것이다.

홍보부 나가이 쇼타로(永井正太郞·46) 씨는 “단축 근무는 여성 인재가 육아와 직장생활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망인데 언젠가부터 당연한 권리로 인식하고 동료에 대한 감사와 배려의 의식이 옅어졌다는 지적이 나왔다”고 설명했다. 매장 영업직은 현장에서 고객 응대 기술을 키워야 하는데 그럴 기회가 줄면 결국 당사자의 경력 관리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판단도 작용했다.

한국이나 일본 기업처럼 잔업이 많은 환경에선 단축 근무제 뿌리내리기가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로 일본능률협회의 지난해 조사에 따르면 단시간 근무 직원과 함께 일한 경험을 가진 이들 중 51%가 ‘곤란했던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일본에서는 육아 때문에 단축 근무를 선택한 이들을 난도가 낮고 승진 기회가 적은 ‘마미 트랙’으로 분류하는 경우도 상당수다. 최근에는 육아휴직을 7개월 이상 쓰고 단시간 근무까지 활용할 경우 소득이 종전보다 17%가량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이런 상황이 이어질 경우 제도를 만들어도 활용도가 낮을 수밖에 없다.

결국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단시간 근무 등 다양한 방식의 근무 제도를 받아들일 수 있는 사회 및 회사 분위기가 정착돼야 하는 게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일본 경제단체인 경단련(經團連) 관계자는 “단시간 정규직 등 다양한 근무 형태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먼저 잔업을 줄이고 근로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도쿄=장원재 특파원 peacechaos@donga.com
#단시간근무#단시간근로#정규직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