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위 50% 자산 비중 2% 불과, 상위 10%의 자산은 66%…빈부격차 이 정도야? ‘씁쓸’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10월 29일 13시 51분


코멘트
동아DB
하위 50% 자산 비중 2% 불과, 상위 10%의 자산은 66%…빈부격차 이 정도야? ‘씁쓸’

우리나라 하위 50%의 자산이 전체 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위 10% 계층의 자산은 무려 66%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김낙년 동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한국사회 부의 분포도’ 논문을 29일 공개했다.

분석 결과 20세 이상 성인을 기준으로, 하위 50%가 가진 자산 비중은 ▲2000년 2.6% ▲2006년 2.2% ▲2013년 1.9%로 갈수록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그간에 나왔던 국내외 연구진의 자산 불평등 추정 결과보다 심각한 것이다.

반면, 자산 상위 10%는 2013년 전체 자산의 66.4%를 보유해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인 2000~2007년 연평균인 63.2%보다 높아져, 부의 불평등 정도가 심해졌다.

이들의 평균 자산은 6억2400만 원으로, 최소 2억2400만 원을 넘어야 상위 10% 안에 드는 것으로 추정된다. 자산에 들어가는 부동산은 공시가격 기준으로 계산했다.

상위 1%의 평균 자산은 24억3700만 원. 상위 1%에 포함되려면 자산이 최소 9억9100만 원은 되어야 한다. 상위 1%의 평균자산 규모는 2000년 13억7500만 원, 2007년 22억7600만 원 등 계속 늘고 있는 추세다.

이번 연구 결과는 가구가 아닌 ‘개인’을 기준으로 측정해 더 의미가 있다. 기존 연구들은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를 기반으로 ‘가구’ 단위의 자산 쏠림 정도를 분석했었다.

상위 10%에 부가 집중된 정도는 우리나라가 프랑스 등 유럽 국가에 비해서는 높고, 영미권 국가보다는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상위 10%가 차지한 부의 비중이 한국은 2013년 기준으로 66%이지만 프랑스는 2010~2012년 평균 62.4%였다. 같은 기간 미국과 영국은 각각 76.3%, 70.5%였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부의 불평등’은 ‘소득 불평등’ 문제보다 훨씬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김 교수는 소득 기준, ▲상위 1%가 전체 소득의 12.1% ▲상위 10%는 44.1%를 차지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었다.

반면, 자산 기준, ▲상위 1%가 차지하는 비중은 20%대 ▲상위 10%가 차지하는 비중은 60%대로 소득 기준으로 따질 때보다 훨씬 커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축적된 부를 통해 얻는 수익’이 ‘노동으로 얻는 소득’보다 더 빠르게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위 50% 자산은 2% 불과. 사진=동아DB
동아닷컴 디지털뉴스팀 기사제보 dnew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