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기업 살리는 산학협력]전국에 356개 산학협력단… 이제 지속가능 모델 만들 때다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11월 17일 03시 00분


이공계 위주서 인문·사회·예체능 등 다양한 분야로 확산 추세 뚜렷
융합형 산학협력 모델 통해 대학·기업·지자체 공생 모색해야

《대입 수험생 산학협력 우수 학과 노려라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끝나고 수험생들은 어떤 대학을 지원해야 할지 고민하는 시기다. 자신의 소질과 특기를 바탕으로 유망한 전공을 탐색하지만 앞으로는 전문성을 갖추지 않으면 갈수록 심해지는 취업난 속에서 일자리를 찾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산학협력을 통해 기업체와 유기적인 네트워크, 성과 보이는 대학의 학과를 눈여겨보고 선택하는 것이 졸업 후 취업 가능성을 높이는 길이라는 조언이다.
기업들이 산업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인재를 요구하면서 기업과 대학간 산학협력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고려대 
산학협력단이 개최한 ‘캠퍼스 CEO DAY’ 행사에 참가한 대학생들의 표정에 자신감이 넘쳐 보인다. 고려대 제공
기업들이 산업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인재를 요구하면서 기업과 대학간 산학협력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고려대 산학협력단이 개최한 ‘캠퍼스 CEO DAY’ 행사에 참가한 대학생들의 표정에 자신감이 넘쳐 보인다. 고려대 제공

정부가 2003년 ‘산업교육 진흥 및 산학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면서 정책적으로 산학협력을 지원하기 시작한 지도 12년이 흘렀다. 관 주도 경제 성장기를 지나 대학 중심의 산학협력 논의가 막 시작된 1990년대만 해도 대학가에서는 산학협력이라는 주제가 나오면 ‘도대체 무엇을, 어떻게, 왜 하라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많았다. 대학의 파트너가 돼야할 기업과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산학협력의 개념조차 잘 알지 못했다.

다행히 정부의 지원과 대학의 의지, 산업체의 참여가 시너지를 발하면서 오늘날 산학협력은 질과 양 모두 빠르게 성장했다. 산학협력의 주체 역시 대학의 일방적인 주도 체제에서 산학연이 균형 있게 참여하는 모델로 진화하고 있다. 이제는 대학, 기업, 지자체 모두 ‘지속가능한 산학협력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성숙기로 접어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급성장한 산학협력 성과

과거 대학은 순수하게 연구에만 매진하는 풍토가 지배적이었지만 선진국을 중심으로 산학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우리나라 대학의 인식도 많이 달라졌다. 대학마다 산학협력을 통한 경쟁력 향상을 체감하면서 대학 본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산학협력을 강조하는 추세다. 산학협력 전담 조직을 키우고, 외부 전문가들도 적극적으로 영입해 산학협력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 주로 이공계 위주로 진행되던 산학협력이 인문, 사회, 예체능 등 전 학문 분야로 확산되거나 융합형 산학협력으로 발전하는 경향도 눈에 띈다.

2015년 현재 전국 대학에 있는 산학협력단은 356개, 여기에 근무하는 인력은 6744명에 이른다. 대학의 기술지주회사도 35개가 있고, 이에 따른 자회사는 193곳이나 된다.

산학협력은 학생들의 경쟁력 향상에도 보탬에 되고 있다.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산학협력이 활성화되면서 2011년 8만1480명이던 현장실습 교육 이수 대학생은 2014년 14만9708명으로 크게 늘었다. 대학과 기업이 연결된 가족회사 숫자도 2012년 7만3076개에서 지난해 11만5411개로 4만 개 가까이 증가했다.

대학들의 기술 이전이나 창업 지원은 미국이나 독일 같은 산학협력 선진국에 비하면 아직 미진한 수준이기는 하지만 최근 들어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산학협력을 통해 국내 및 해외에서 특허가 출원된 것이 2만510건, 기술이 이전된 것은 3262건이다. 전국 각지에서 창업교육센터도 194곳이나 가동되고 있다. 대학의 연구 성과를 기업이나 지역 사회와 공유함으로써 부가 가치를 높이는 선순환 구조가 점차 구축되고 있는 것이다.

지속가능한 산학협력이 중요


산학협력 성과가 눈에 띄게 좋아지고 있기는 하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대학과 기업 사이에 산학협력을 대하는 목적이 다르다는 점을 애로사항으로 꼽는다. 기업은 경영에 필요한 연구 개발이나 인재 양성 측면에서 도움을 받기를 원하는 반면 대학은 학생들의 현장교육과 취업 기회 제공을 더 원한다는 것. 대학들이 중소기업보다는 대기업과의 산학협력에 더 공을 들이는 것도 아쉬운 점으로 지적된다.

이런 한계는 기술 이전과 창업, 고용률 제고 등에 복합적으로 기여함으로써 대학과 기업, 지역 사회의 실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산학협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정 정책이나 지원에 따라 수동적으로 산학협력에 임하는 것이 아니라, 산학협력을 통해 각 주체가 지속가능한 성장을 꾀할 수 있다는 믿음과 기대가 뿌리내려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대학과 기업, 지역 사회가 유기적으로 연결돼 창조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산학협력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교육부는 2단계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 사업을 통해 대학들이 산학협력을 체질화하도록 유도하는 한편 ‘산학협력 활성화 10대 중점 추진과제’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산학협력 방안을 찾고 있다.

정부는 지속가능한 산학협력을 통해 지역 발전과 중소기업 육성의 해결책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 대학을 주축으로 하는 산학협력을 통해 지역의 인재들은 취업·창업의 활로를 찾고, 지역 기업들은 우수한 기술력과 인력을 얻으며, 지방자치단체는 특성화를 통한 발전 모델을 구축하는 ‘산학협력 생태계’가 만들어져야 한다. 특히 지역 특성에 맞는 산학연 연구를 통해 각 지역의 신성장동력을 발굴하고, 이에 맞춘 현장 교육이 뒷받침된다면 지방대 학생들의 취업률 상승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희균 기자 foryou@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