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도 경고한 ‘한국 가계-기업 부채’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12월 12일 03시 00분


“외환위기 수준에 근접 위험수위”
가계 1200兆-기업 2400兆 빚… 美금리인상땐 상환부담 더 커져
韓銀총재도 “부채관리 나서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결정을 앞두고 국제통화기금(IMF)이 한국 경제의 부채 문제에 대해 경고했다. 미국이 조만간 정책금리를 올리고 이에 따라 국내 시중금리도 상승하기 시작하면 빚 많은 가계나 기업의 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한국 경제가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다. 연준은 15, 16일 회의에서 2008년 이후 제로 수준(0∼0.25%)으로 유지해 온 정책금리를 7년 만에 인상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한국은행과 IMF가 11일 서울 중구 을지로 롯데호텔에서 공동 주최한 콘퍼런스에서 딩 딩 IMF 아태국 선임연구원은 “일부 아시아 국가의 부채 위험이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수준에 근접해 있다”며 “한국의 가계대출 역시 향후 이자율 상승의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한국의 기업대출은 소수의 회사에 집중돼 있고, 이 회사들의 유동성이나 수익성도 나빠 향후 금융 안정을 저해하는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한국의 가계부채와 기업부채는 각각 1200조 원, 2400조 원에 이른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같은 자리에서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에 따라 국제금융시장 여건이 지금까지와 다른 방향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정부와 민간이 차입 수준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데 유의하고 비효율적인 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촉진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9일 한국개발연구원(KDI)도 “가계부채가 줄지 않으면 나중에 경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는 만큼 당국이 리스크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대외 수출 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빚에 짓눌린 가계와 기업이 소비와 투자를 줄일 경우 내년 경제가 상당한 어려움에 처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유재동 기자 jarrett@donga.com
#imf#외환위기#美금리인상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17

추천 많은 댓글

  • 2015-12-12 10:00:38

    우리나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국민세금을 1년에 1명당 77억원씩(작년국회총집행예산2조3,000억:정당보조비8,500억,특수활동비8,800억포함)써대는 국회부터 구조조정해야한다! 미국처럼 인구58만명당1명해서 87명이하로 줄이고 무보수 명예직으로 해야나라가 살아난다

  • 2015-12-12 07:35:43

    빚 내서 집 사고 먹고 사는 사람들.. 클 났구만ㅡ

  • 2015-12-12 14:45:27

    우리나라 구조조정의 올바른 방향!!! 1)국회의원숫자 87명이하로 축소 및 무보수 명예직전환 2)행정부를 외교안보,검경,소방안전,세무,감사 기능외 모조리 민간에 이양 3)4대연금(국민,공무원,군인,사학) 통합!!! 이러면 그즉시 세계제1강국 된다!!!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