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뷰스]‘위험’ 없는 ‘수익’은 없다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1월 4일 03시 00분


코멘트
서명석 유안타증권 사장
서명석 유안타증권 사장
요즘 핀테크라는 말을 쉽게 들을 수 있다. 정보기술(IT)을 활용해 금융산업의 영역 확장을 추구하는 개념이다. 요즘 뜨고 있는 핀테크 분야에서 세계 최고로 인정받고 있는 나라가 바로 중국이다. 비금융 기업들이 금융 부문에서 다양한 수익을 추구할 수 있게 만든 중국의 규제 환경에서 최근 몇 년 새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와 같은 기업들이 급성장했다.

얼마 전 알리바바의 핵심 사업체 중 하나인 알리페이의 임원진과 만났다. 그가 발표한 사업 비전도 흥미로웠지만 무엇보다 눈길을 끈 건 모바일 지불결제와 인터넷전문은행에 관한 설명이었다. 특히 알리페이가 속한 ‘Ant 금융서비스 그룹’이 관심을 끌었다. Ant는 결제시스템인 알리페이, 개인 대상 고금리 예금상품을 파는 ‘위어바오(余額寶)’, 크라우드펀딩사 ‘위러바오(娛樂寶)’, 신용대출 회사 ‘자오차이바오(招財寶)’ 등이 자회사로 편입돼 있다.

이 자회사들은 활발한 투자 활동을 수행하면서 알리바바의 기업 가치를 제고하는 데 상당한 공헌을 하고 있다. 이들의 투자 영역에는 개인 신용대출, 벤처캐피털, 콘텐츠 사업 등 다양한 분야가 포함돼 있다. 한국으로 치면 인터넷 쇼핑회사나 유명 포털사이트 운영사가 금융사를 설립하고, 이를 통해 영역을 넘나들며 수익 사업을 진행하는 셈이다. 지난해 하반기 알리바바가 직접 운용하던 금융 부문 일부를 Ant로 이전하기로 결정하자 알리바바의 주가가 40% 가까이 하락한 것은 금융 분야의 수익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와 평가가 그만큼 컸다는 것을 뜻한다.

한국에서도 최근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한 사전인가가 나고 핀테크가 본격적인 첫걸음을 뗐다. 핀테크회사가 중국의 알리바바처럼 성장하려면 활발한 수익 추구 활동이 가능해야 한다. 그러자면 안전성을 최고의 덕목으로 여기며 투자자 보호에 집중하는 과거의 시각을 바꾸고 적극적인 투자를 어렵게 하는 제도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제도의 변화보다 중요한 건 기업이나 개인 모두 적극적인 ‘리스크 테이킹(위험 감수)’을 해야 한다는 점이다. 알리바바의 사례에서 보듯이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큰 개인신용대출, 콘텐츠 사업 등에 대한 투자로 수익을 얻고 기업의 성장동력을 확보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세계적으로 저성장, 저금리, 고령화 시대가 도래했다. 한국도 배당 수익과 예금 금리가 역전될 만큼의 저금리 상황에 진입했다. 예금으로 대표되는 저위험, 저수익 상품으로는 원하는 수준의 수익률과 부를 이루기가 요원한 일이 되고 있다.

문제는 한국인 투자자들의 태도 역시 안정성을 중시한 나머지 리스크 자체를 금기시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전체 펀드 투자에서도 리스크가 큰 해외투자 펀드 비중은 16%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전부 상대적으로 안전한 국내에 투자되고 있다. 대만의 경우 2014년 말 기준으로 전체 펀드 가운데 56%가 해외 투자 펀드인 것과 비교된다. 그나마 후강퉁(상하이와 홍콩 증시의 교차거래)과 같이 해외에 직접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이 등장하고 해외에 투자하는 펀드가 늘고 있는 건 다행스러운 부분이다.

핀테크를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려는 정부나 저금리 시대의 돌파구를 찾으려는 투자자들이 시야를 조금만 넓게 하면 많은 기회가 존재한다는 것을 자각할 필요가 있다.

서명석 유안타증권 사장
#금융#it#핀테크#인터넷은행#인터넷전문은행#펀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