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개 계열사 정리 마친 동부… 김준기의 침묵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1월 14일 03시 00분


코멘트

구조조정 2년여만에 사실상 마무리
40여년간 ‘씨앗산업’ 한우물… 동양사태 이후 계열사 무더기 매각
2016년은 시무식도 신년사도 없어, 재계 “유일 창업1세대… 재기 기대”

그룹 차원의 시무식은 없었다. 신년사도, 임직원에게 보내는 e메일도 없었다.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72·사진)은 말이 없었다. 8일 국내 최대 농자재업체 동부팜한농이 LG화학에 팔리며 2년여간 이어진 구조조정이 사실상 마침표를 찍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김 회장은 지난해 1월 4000자에 가까운 신년사를 통해 주채권 은행인 KDB산업은행에 대해 비판의 날을 세웠다. 스스로 “대단히 참담한 심정”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마지막까지 애착을 보였던 동부팜한농마저 결국 매각되자 그는 더 이상 ‘구조조정’을 입밖에 꺼내지 않고 있다.

○ 기나긴 구조조정 마무리

김 회장은 1969년 자본금 2500만 원으로 미륭건설을 설립해 동부그룹의 토대를 마련했다. 25세 때였다. 김 회장은 스스로를 ‘산업 농사꾼’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쇳물(동부제철), 반도체(동부하이텍), 종자(동부팜한농) 등 ‘씨앗 산업’에 주력했다. 김 회장은 2000년 동부그룹을 재계 10대 그룹으로 성장시켰다. 2013년 동부그룹 계열사는 66개까지 늘어났다.

구조조정의 시작은 2013년 10월 발생한 동양그룹 사태. 회사채 시장이 완전히 무너지면서 동부그룹 계열사들의 신용등급이 평균 두 계단 이상씩 떨어졌다. 금융당국은 유동성 문제가 발생한 동부그룹을 한진그룹, 현대그룹과 함께 선제적 구조조정이 필요한 기업으로 지목했다. 그해 12월 김 회장은 주채권 은행이었던 산은에 구조조정의 전권을 위임했다. 정책금융기관 주도의 구조조정이 결실을 맺을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이었다.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자산을 매각하는 방식이 난항을 겪었고 포스코에 제안한 동부제철 인천공장-동부발전당진 ‘패키지 딜’도 무산됐다. 연이은 실패에 계열사들의 신용등급은 투기 등급까지 내려갔다. 결국 기업재무구조 개선 중인 동부제철과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동부건설을 포함해 40개 회사가 김 회장의 품을 떠났다. 그가 그토록 아끼던 씨앗산업도 동부하이텍만 남고 동부제철과 동부팜한농은 계열 분리됐다.

○ 동부 구조조정에 대한 엇갈린 평가

김 회장은 채권단을 향한 원망을 쏟아내면서도 자신의 실책을 부인하지 않았다. 지난해 신년사에서 그는 “핵심설비 조업 불안으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한 데다 금융시장 등 재무환경 변화를 사전에 예측하지 못해 그룹이 위기에 처했다”고 밝혔다.

평가도 엇갈린다. 동부그룹 구조조정에 참여했던 금융권 관계자는 “어느 기업이 외부 기관 주도로 이뤄지는 구조조정을 반기겠느냐”고 반문한 뒤 “당시 동양에 이어 동부마저 무너졌다면 제2의 외환위기 사태가 빚어질 수도 있는 급박한 상황이었다”고 강조했다. 반면 재계 관계자는 “선제적 구조조정의 필요성이 컸던 것은 사실이지만 모범사례를 남기고 싶었던 산업은행의 조급함이 결과적으로 동부에 가혹한 결과를 가져다주었다”고 평가했다.

김 회장은 가까스로 지켜낸 금융계열사들과 동부대우전자, 동부하이텍 등 전자계열사를 중심으로 그룹을 재정비할 계획이다. 재계 고위 관계자는 “김 회장은 현재 사실상 유일하게 남은 창업 1세대”라며 “뼈아픈 구조조정을 했지만 현재의 위기를 딛고 반드시 재기에 성공하는 모습을 보여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성진 기자 psjin@donga.com
#동부#김준기#구조조정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