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84년 벤저민 프랭클린은 낮이 긴 기간에 한 시간 일찍 일어나면 어두운 저녁 시간대에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일견 합리적으로 보이는 이 ‘서머타임제’, 즉 일광절약제는 20세기 초에 널리 받아들여져 영국을 필두로 70여 개국에서 시행되기 시작했다.
이 제도가 유럽에서 본격적으로 확산된 계기는 전쟁이었다. 전쟁 때는 생산성 저하보다 에너지 절약이 우선순위였다. 그러나 전쟁이 끝난 뒤에도 일광절약제는 사라지지 않았다. 이후 이 제도는 인간의 삶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영국 리버풀 존무어스대의 연구진은 일광절약제 시행이 인간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과학 연구논문 60여 편을 종합해 분석했다.
먼저 일광절약제 시행 전 일주일과 시행 후 일주일 및 한 달 사이의 수면의 양과 질을 비교한 결과, 수면 시간은 봄철에 30분에서 40분 정도 감소했으며 가을에는 변화가 없었다. 봄철에 잠이 깨거나, 잠드는 시간을 조정하는 데는 3∼5일 걸렸다. 몸 상태가 정상으로 돌아오는 데는 3주일이 걸렸다.
일광절약제 시행이 교통사고 등의 각종 사고를 유발한다는 근거도 제시됐다. 봄철 일광절약제 시행 후에는 교통사고가 7∼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제도가 학습능력을 저하시킨다는 연구도 있다. 미국 인디애나 주 내 350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일광절약제 시행 지역과 비시행 지역의 대학수학능력시험(SAT) 점수 10년 치를 비교한 결과 이 제도가 시행되는 지역의 SAT 성적이 그렇지 않은 지역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일광절약제는 40분 정도 잠을 덜 자게 한다. 보다 길게 깨어 있다면 보다 오래 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적게 자는 동안 생산적인 일을 하지 않는다. 각종 사고를 유발하며 건강을 해친다. 심지어 성적도 낮아진다. 조명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약하는 대가치고는 너무나 가혹하다. 일광절약제는 반드시 없애야 하는 제도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