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 미국의 한 연구소는 3만 명을 대상으로 지난 한 해 경험한 스트레스가 얼마나 큰지를 물었다. 또 “스트레스가 건강에 해롭다고 믿는가”라는 질문도 했다. 8년 뒤 연구원들은 설문 참가자의 사망 위험을 추적했다. 높은 스트레스 수치를 기록한 사람들의 사망 위험은 43% 증가했다. 그런데 눈길을 끄는 또 다른 결과가 있었다. 높은 스트레스 수치를 기록했어도 스트레스가 해롭다고 믿지 않는 사람들의 사망 확률은 증가하지 않은 것. 이들의 사망 위험은 스트레스를 거의 받지 않는다고 기록된 사람들보다도 낮았다. 연구원들은 사람을 죽음으로 몰아가는 요인이 스트레스 그 자체와 스트레스는 해롭다는 ‘믿음’이 결합할 때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결론지었다.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스탠퍼드대 심리학자인 켈리 맥고니걸 박사는 신간 ‘스트레스의 힘’(21세기 북스)에서 ‘스트레스는 독이 아닌 약’이라고 주장한다. 또 스트레스에 대한 대응법만 익힌다면 삶에 긍정적인 작용을 할 것이라고 조언한다. 맥고니걸 박사에 따르면 스트레스가 우리 몸에 해로운 이유는 스트레스 그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스트레스가 몸에 해롭다고 생각하는 우리의 ‘믿음’ 때문이다.
실제 우리 몸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변화를 일으킨다. 간은 연료를 만들기 위해 지방과 당을 혈류로 보내고, 심장에 더 많은 산소가 공급될 수 있도록 호흡이 깊어지며, 심장 박동이 빨라지면서 산소와 지방과 당을 근육과 뇌로 전달한다. 이때 소화 기능을 비롯한 다른 일상적인 신체 기능은 느려지거나 정지한다.
결국 중요한 것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능력이다. 자신이 스트레스 상황을 감당할 수 있다고 믿으면 상황은 도전이 되고 이는 삶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맥고니걸 박사는 특히 스트레스 대처를 위해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인 ‘옥시토신’에 주목했다. 옥시토신은 스트레스를 제대로 수용하게 해주고 공감 능력을 높여주며 타인과의 바람직한 관계 형성을 도와주는 호르몬이다. 우리가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하거나 누군가를 돕고자 손을 내밀 때 활발하게 분비되는 호르몬이 옥시토신이다. 결국 스트레스를 올바르게 수용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인간관계 형성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다.
댓글 0